국민의힘 주호영 비상대책위원회가 본격 출범하면서 당과 대통령실 간 당정 관계도 새로운 변화가 있을지 주목된다.
이런 가운데 이준석 전 대표는 예고했던 대로 비대위 전환과 관련, 서울남부지법에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하며 전면전을 강행하고 나서 당 내분 양상이 이어지고 있다.
주호영 비대위원장은 10일 오전 국회 본관 앞 출근길에 기자들과 만나 이 전 대표와의 회동 전망과 관련 “다각도로 접촉하려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주 위원장은 이어 비대위 구성 방향에 대해 “오늘내일 그 일에 집중하려고 한다”면서 “비대위원과 비서실, 보좌역 인선에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당 안팎에서는 대통령실 쪽과 불협화음을 냈던 이 전 대표 시절보다 당정 관계가 정상 궤도로 복귀하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이 나오고 있다.
비대위원장 발탁 배경에도 대통령실과 긴밀하게 소통 관계를 유지하면서도 동시에 계파 논란에서 벗어나 당내 분란의 소지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적임자라는 평가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된다.
그는 전날 취임 일성을 통해 “첫째 임무는 당의 갈등과 분열을 조속히 수습해 하나되는 당을 만드는 것”이라면서 “당과 정은 협력이 필수이지만 민심의 창구인 당은 정부가 민심과 괴리되는 정책이나 조치를 할 때 이를 과감히 시정할 수 있어야만 당정이 함께 건강해질 수 있다”며 ‘협력과 견제’를 강조하는 등 수평적 당정 관계에 무게중심을 뒀다.
그는 비대위 임기와 차기 전당대회에 대해서는 정기국회 전 비대위 임기를 빠르게 마치고 전당대회를 열어 당을 안정화하자는 주장과 관련, “그러면 비대위 할 게 뭐 있나”라며 “(전대) 선거관리위원회를 구성하면 되지”라며 부정적인 입장을 피력했다.
무엇보다 비대위의 최대 난관은 이날 이 전 대표가 제기한 가처분 신청 처리라고 할 수 있다.
이 전 대표는 이날 오전 페이스북에 “가처분 신청 전자로 접수했다”고 짧게 밝혔다. 비대위 전환의 절차적 정당성 등을 문제 삼으며 비대위 전환에 대한 효력을 정지해달라며 법원에 법적 판단을 구한 것인데 이에 따라 여당 내홍도 당분간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이 전 대표가 오는 13일 기자회견을 예정하고 있는 가운데 그 전에 가처분 신청 결과가 나올지 주목된다.
김재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