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공사,면세사업자 입찰 장기화 불가피…제1·2터미널, 공실 방치 우려

인천국제공항공사의 인천공항 제1·2여객터미널(T1·T2) 내 면세점 사업자를 찾는 입찰 공고의 지연이 장기화하고 있다. 이미 관세청과의 면세사업자 선정 절차 변경을 놓고 5개월 이상 걸린데다, 사업권별 규모 협의도 입장차가 엇갈리고 있기 때문이다.

10일 관세청과 공항공사에 따르면 공항공사는 지난 2~7월 관세청과 면세점 사업자 선정 절차과 관련한 협의 결과, 공항공사가 복수 추천하고 관세청이 최종 1곳을 선정하는 방식으로 최종 합의했다. 다만 이 협의가 길어지면서 공항공사는 당초 계획했던 지난달 면세점 사업자 입찰 공고를 내지 못했다.

특히 공항공사는 종전 면세구역 사업권별 규모 구상안을 두고 현재 관세청과 2차 협의를 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최종 합의에 도달하지 못해 입찰 공고 시점은 더욱 늦어질 전망이다.

공항공사는 인천공항 면세구역 사업권을 사업자의 매출 증대와 여객 편의에 맞춰 종전 기준보다 넓히는 구상안을 냈다. 반면, 관세청은 종전 사업권별 구역에서 세분화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으면서 좀처럼 입장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이 같은 공항공사와 관세청 간 줄다리기가 장기화하자 관련 업계에서는 내년 인천공항 T1과 T2의 면세점 공실 사태를 우려하고 있다.

현재 내년 1월이면 T2 1구역(공실)과 5구역이 공항공사와 면세점 계약이 끝난다. 또 내년 2월부터는 T1 3구역과 6구역(공실·임시운영)이 계약이 끝난다.

최소한 면세점 사업자가 제안서 등 입찰을 준비하는데만해도 3~4개월이 걸리는데다 선정 절차를 끝내고 수개월 이상 준비가 필요한 점을 감안하면 당장 입찰 공고를 해도 일정을 맞추기에 빠듯하다. 당초 공항공사는 지난달에 공고를 내야 내년초 새 사업자 입주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했다.

공항공사 관계자는 “최근 항공수요 회복세로 여객이 늘고 있고, 큰 어려움을 겪던 면세사업자들의 수익 증대에 초점을 맞춰 사업권별 구상안을 계획했다”고 했다. “관세청과 협의가 빨리 이뤄져야 면세점 공실 사태를 막을 수 있다”고 했다.

관세청 관계자는 “공항공사를 비롯해 관련 업계에서도 사업권 조정에 대한 여러 의견이 나와 조율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했다. 이어 “공항공사와 빠른 시일 안에 합의점을 찾아 면세점 입찰 공고가 이뤄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이승훈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