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첩첩 갈등에 발묶인 수소발전, 출구는 없는 것인가

화석연료 위주의 에너지를 친환경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해 나가는 것은 시대적 흐름이다. 인천의 경우 현재 전력자립도가 225%에 달하지만 대부분이 화력발전 위주여서 지속가능하지 않다. 전 지구적인 기후위기의 시대여서다.

이에 인천시는 3년 전부터 수소경제특별시를 목표로 수소연료전지사업 활성화에 나서고 있다. 수소연료전지는 석유·가스 등에서 추출된 수소를 연료로 공급해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시켜 전기와 열을 생산한다. 화석연료 발전보다 에너지 효율은 26% 높고 온실가스 발생은 40% 적다. 그러나 아직은 낯선 이 사업에 대해 주민 반발이 커 발목이 잡혀 있다고 한다.

인천시는 2030년까지 20곳에 수소연료전지 발전소(606㎿ 규모)를 건설할 계획이다. 3조6천억원의 민간투자를 통해서다. 그러나 선도사업들부터 주민 수용성 확보에 실패하면서 무산될 위기다. 송도그린에너지발전소(100㎿급)는 연수구 송도동 LNG기지 3지구에 2025년까지 짓기로 한 사업이다. 인천시는 발전소 예정 부지 인근 주민들의 동의를 얻기 위해 지난해 2차례 주민설명회를 가졌다. 올해 들어서도 9차례나 주민협의체회의 등을 열었지만 답보상태다. 수소연료전지 발전소로 인한 이산화탄소 배출·폭발 위험성·지역가치 저하 등을 우려하는 주민 반대 때문이다. 환경영향평가나 발전사업허가 절차 등은 시작도 못하고 있다. 내년 1월 예정이던 착공도 일단 미뤄져 있다.

내년까지 남동구 고잔동에 지을 계획이던 남동하이드로젠밸리 발전소(20㎿)도 마찬가지다. 인근 주민들을 대상으로 7차례의 주민설명회를 열었지만 안전성 등에 대한 우려로 주민 동의를 얻지 못했다. 발전사업허가 절차도 밟지 못해 계획했던 연내 착공은 불가능하게 됐다. 이곳 수소연료전지 발전소가 무산되면 2026년부터는 연수구 및 남동구 9만6천 가구에 열과 전기 공급이 차질을 빚을 수도 있다고 한다.

문제는 주민 수용성에 막히면 출구가 없다는 점이다. “현재로서는 그동안 해온 주민설명회나 주민협의체 회의 등을 반복할 수밖에 없다.” 인천시 관계자의 토로다. 수소연료전지 발전소 외에도 인천지역에는 이처럼 발 묶인 사업들이 많다. 누구나 사업의 당위성은 인정하지만 시작부터 가로막힌다. 물류로 먹고사는 도시 인천에서 화물차 주차장 확보는 큰 숙제다. 그러나 십수년째 나아가지를 못했다. 옹진군 해역의 해상풍력발전 사업들도 같은 과제를 안고 있다. 사회적 갈등으로 꼭 해야 할 사업들이 번번이 무산된다면 인천의 지속가능발전은 어디서 찾을 것인가.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