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연간 14조원대 예산을 오는 2026년까지 책임질 금융기관으로 신한은행과 NH농협은행을 각각 1·2금고로 선정했다.
10일 시에 따르면 이날 인천시의원과 교수, 변호사, 공인회계사, 세무사 등으로 꾸려진 금고지정심의위원회를 열고 각 은행들이 제출한 제안서 등에 대해 심의·평가를 한 뒤, 이 같이 결정했다. 이에 따라 이들 은행들은 내년 1월1일부터 2026년 12월31일까지 4년간 차기 시금고를 맡는다.
이에 따라 지난 2007년부터 인천시 1금고와 2금고를 각각 운영해 온 신한은행과 NH농협은행은 2024년까지 20년 연속 시금고를 운영을 이어간다.
앞서 지난 5일 금고 지정 신청서 접수를 마무리한 결과, 일반회계·공기업특별회계·기금 등 연간 12조원3천908억원(올해 기준)을 취급하는 1금고엔 신한은행, 하나은행, KB국민은행이 도전장을 냈다. 2조62억원의 기타특별회계를 취급하는 2금고는 NH농협은행, 하나은행, KB국민은행이 신청했다.
시는 이번 평가에서 금융기관의 대내외적 신용도 및 재무구조의 안정성(25점), 지역 내 지점·무인점포·현금자동입출금기(ATM)의 수와 중소기업·소상공인에 대한 대출 실적 등 시민이용의 편의성(24점) 등을 확인했다. 또 전산시스템 보안관리 및 수납시스템 구축·운영능력 등 금고업무 관리 능력(24점), 시에 대한 대출 및 예금금리(18점), 지역사회 기여 및 시와의 협력 사업(7점), 탄소중립 기여도(2점) 등 모두 6개 분야 20개 세부항목에 대해 종합적으로 평가했다.
신한은행은 그동안 시금고를 맡으면서 각종 맞춤형 전산시스템 개발 등 안정적 금고 운영 능력을 비롯해 시민이용 편의성, 지역사회 기여·협력 부분을 비롯해 재무구조 안전성 등을 높게 평가받았다. 게다가 신한은행은 그동안 4차례 시금고 선정 절차 등을 거치며 경쟁력을 쌓아 이번에도 좋은 결과를 받았다는 분석이다.
NH농협은행은 강화·옹진 및 중구 영종 등 도서지역까지 점포가 있어 시민 편리성이 높은 점과, 각종 공공기관의 금고를 맡으면서 안정적인 금고 운영 능력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또 각종 환원사업, 지역경제 활성화, 사회공헌활동 등 지역 발전을 위한 지자체와의 협력이 좋은 점수를 받았다.
시는 이달 중 금고 지정 사항을 시보와 홈페이지 등을 통해 공고한다. 또 다음달께 이들 은행들과 시금고 약정을 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금고지정의 객관성과 공정성을 확보하려 조례에서 정하고 있는 각 분야의 전문가를 2~3배수로 추천받아 위원회를 꾸렸다”고 했다. 이어 “객관적이고 심도 있는 심의를 위해 금고업무 관리능력 등 주요 전산분야에 대한 프레젠테이션(PT)을 하는 등 면밀한 평가를 했다”고 설명했다.
이민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