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영종 자동크린넷’ TF 합의했지만…3개 기관 입장차 재확인

인수 방법·운영시기 등 첫 협의...區 “계획인구 70% 지역시설 우선”
LH “모두 인수 확약 필요” 주장...경제청은 ‘비용 분담’ 줄다리기

인천 영종하늘도시 내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크린넷)이 8년간 방치돼 골칫덩이로 전락(본보 7월1일자 1·3면)한 가운데 인천경제자유구역청과 LH(한국토지주택공사), 중구 등이 태스크포스(TF)를 꾸리고 문제 해결에 나선다. 하지만 기관 간 입장차가 여전히 커 갈등의 불씨가 남아있다.

11일 인천경제청과 LH, 구 등에 따르면 LH는 최근 인천경제청 및 구와 ‘영종국제도시 자동크린넷 운영을 위한 TF 구성’에 대해 최종 합의했다. 영종 크린넷 관련 기관들이 이렇게 한자리에 모이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들은 TF를 통해 지난 8년간 운영 주체를 찾지 못해 주민들이 자동크린넷을 사용할 수 없었던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인수 방법과 운영비 및 유지·관리비 분담, (시범)운영 시기 등을 협의할 계획이다.

그러나 관련 기관들이 주요 협의 사항에서 여전히 온도차가 크다.

김정헌 중구청장은 현재 계획인구의 70%가 입주한 지역의 크린넷 집하시설인 3집하장을 우선 인수하겠다고 밝혔다. 1·2·4집하장이 있는 지역은 아직 계획인구의 30%만 입주한 만큼 운영 적자가 매우 커 효율성이 떨어진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반면 LH는 구가 크린넷 4곳 모두를 인수하겠다는 확약을 하는 것이 꼭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자칫 계획 인구가 늘어나지 않으면 크린넷 운영 및 인수가 계속 늦어지는 만큼 일정 기간 등을 명시한 협약 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LH 관계자는 “구가 조건에 따른 인수 약속을 한다면 3집하장 우선 인계는 가능하다”고 했다.

만약 LH와 구가 3집하장 등의 인수·인계에 합의하면 영종하늘도시 2만4천여가구의 주민들이 크린넷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인천경제청과 구의 크린넷 운영비 및 시설 유지·관리비 분담을 놓고 협의가 줄다리기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인천경제청은 크린넷 운영비는 구와 50%씩 분담하고, 시설 유지·관리비용은 인천경제청 75% 및 구 25%의 분담률을 정해놨다. 이는 연수구(송도국제도시)와 서구(청라국제도시)와 같은 비율이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타 구와 형평성 문제로 분담률을 달리할 순 없는 상황”이라며 “TF에서 협의를 통해 최적의 대안을 찾겠다”고 했다.

하지만 구는 크린넷 운영 시 투입할 예산이 현재 문전수거 방식에 쓰는 예산보다 많은 만큼 그 차액만큼을 인천경제청이 더 지원해줘야 한다는 입장이다. 또 인천경제청이 송도·청라의 크린넷 운영 초기인 6~10년 동안 직접 운영한 만큼 형평성 차원에서 추가 지원을 해달라고 주장하고 있다.

구 관계자는 “인천경제청이 운영비 및 시설 유지·관리비 분담 비율을 고수할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인센티브를 제공하겠다고 나서야 한다”고 했다. 이어 “전향적으로 TF에 참여하는 만큼 주민들이 크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최대한 협의하겠다”고 했다.

김지혜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