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경제 안정 사활 건 경기도…2천359억원 규모 비상경제 대채 사업 추진

‘민생경제’ 안정에 사활을 건 경기도가 2천359억원 규모의 비상경제 대책 사업을 추진한다.

류광열 경기도 경제실장은 18일 수원특례시에 있는 경기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비상경제 대응 분야 제1회 추경 시행 대책’을 발표했다.

류 실장은 “민선 8기 도의 최우선 과제는 민생 안전이다. 실제 김동연 경기도의 1호 결재인 ‘비상경제 대응 민생 안정 종합계획’을 바탕으로 비상경제 대응 체제를 가동한 도는 현재 단계 별로 관련 대책을 마련 중”이라며 “이날 도의회가 심도 있는 논의를 거쳐 추경안을 심의 및 의결함에 따라 민생경제 대책을 조속히 시행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앞서 도의회는 이날 오전 열린 ‘제362회 임시회’ 3차 본회의에서 도가 제출한 1차 추경안을 의결했다. 도는 추경을 바탕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도민을 위한 민생 회복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도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가계 대출이 급증하고 금리 인상과 대출 만기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의 경영 안정을 위해 총 9개 사업(905억원 규모)의 ‘경기도형 신용회복 및 버팀목 지원’을 추진한다. 주요 사업은 ▲제2금융권·고금리 대출 이용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을 위한 ‘고금리 대환 및 저금리 운영자금(715억원)’ ▲소상공인의 대출 상환 부담을 덜기 위한 ‘소상공인 저금리 대환지원(36억원)’ ▲불가피한 이유로 부도가 발생한 우수 기술 업체의 재기를 도울 ‘재도전 희망특례 보증(44억원)’ 등이다.

아울러 위축된 서민 경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1천251억원 규모의 예산을 편성하고 ‘소비자·가계 물가안정’을 도모한다. 구체적으로 ▲골목상권 활성화와 지역경제 선순환 촉진을 위한 ‘지역화폐 발행 지원’에 1천17억원 ▲농·수·축산물 가격 상승으로 가중된 장바구니 물가 부담 경감을 위한 ‘경기미 및 로컬푸드 할인 지원사업’에 234억원을 반영했다.

이밖에 지구 온난화 및 기후변화로 인해 피해를 본 양봉 농가를 위한 ‘월동꿀벌 피해 양봉농가 지원’에 18억원, 유가·물류 비용 상승으로 수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도내 중소 수출기업을 위한 ‘경기안심 수출보험 지원’에 4억원을 투입한다.

류 실장은 “민생경제 안정을 위한 정책을 신속하게 펼칠 것”이라고 말했다.

김현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