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중순 추진… 조달청 입찰 진행, 결제수수료 지급하는 기존 방식 유지 ‘운영대행사’ 선정 놓고 치열한 경쟁 예고
인천시가 연간 4조원대 결제 규모의 지역전자화폐 인천e음의 운영대행사 선정 공모에 나선다.
29일 시에 따르면 유정복 인천시장은 다음달 초 인천e음 제도에 대한 개선 방향을 밝힐 예정이다. 소상공인에 대한 지원은 강화하는 한편, 지속가능한 인천e음을 위한 캐시백 제도 개편 등이 핵심 내용이다.
시는 이 같은 개선 방향에 맞춰 같은달 중순께 인천e음 운영대행사 공모를 추진할 계획이다. 앞서 시는 지난해 말 운영대행사 공모를 위해 참여 의사가 있는 업체로부터 의견을 듣는 정보제공요청서(RFI) 공고를 하기도 했다.
시는 오는 10월 심사를 거쳐 앞으로 최소 2년 이상 인천e음을 운영할 대행사를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기간은 운영대행사의 시스템 투자 규모 등에 따라 더 늘어날 수 있다. 시는 투명한 운영대행사 선정을 위해 조달청을 통해 입찰을 진행할 예정이다.
특히 시는 운영대행사에 별도의 운영비용(대행수수료)을 지급하지 않는 대신, 결제수수료의 일부를 주는 현재의 방식을 공모 조건을 내걸 계획이다.
시는 당초 대행수수료는 물론 각종 애플리케이션(앱) 개발 비용까지 지급해 장기적으로 인천e음 플랫폼의 소유권을 가져오는 방향으로 검토를 했다. 하지만 정작 앱 개발에 들어가는 비용이 비싼데다 소유권 확보의 실효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 현재의 방식을 유지하기도 했다. 다만 현재의 결제수수료 체계로는 운영대행사의 수익이 예상보다 많아질 수 있다고 판단, 일부 수수료 비율을 줄이기로 했다.
지역 안팎에서는 인천e음의 현 운영대행사인 ㈜코나아이를 비롯해 서울시의 지역전자화폐 서울페이플러스를 운영하고 있는 신한카드㈜, 그리고 부산의 동백전을 운영했던 ㈜케이티(KT) 등 3파전을 전망하고 있다. 코나아이는 NH농협은행㈜, 신한카드는 신한은행, KT는 하나카드㈜와 각각 손을 잡을 것으로 보인다.
코나아이는 전국적으로 가장 많은 지역화폐를 운영해온 노하우와 각종 커뮤니티 기반의 각종 부가서비스 개발 능력, 신규 서비스 개발로 인한 플랫폼 확장 등이 장점으로 꼽힌다. 여기에 중앙 부처 등 행정과 연계 할 수 있는 기반 등도 갖췄다는 평가다.
신한카드는 최근 신한은행이 인천시금고 수성에 성공한 만큼, 신한은행과 함께 행정과 연계한 인천e음의 운영이 가능하다. 신한카드는 카카오페이 등과 함께 최근 e서울사랑상품권을 출시하는 등 서비스를 점차 확대하고 있다.
KT도 전국 지역화폐 운영 노하우을 갖고 있는데다, 자체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모바일 및 배달 등의 부가서비스 등을 장점으로 내세운다. KT는 이날 7대 카드사를 연동해서 사용할 수 있는 카드형 온누리상품권 모바일 앱 서비스를 출시하기도 했다.
시 관계자는 “그동안 선불충전금 명의 이전 등 각종 제도 개선 등을 통해 운영 부분에 대한 투명성은 상당부분 확보했다”고 했다. 이어 “안정적으로 인천e음이 운영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이민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