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전기차 보급이 급증하고 있다. 보조금 정책에 최근의 유가 급등이 가세해서다. 올 상반기만 해도 6만9천여대가 더 늘어 76%의 증가세를 보였다. 전기화물차도 마찬가지 추세다. 2019년 말 1천100대에서 지난해 말 4만3천대로, 다시 지난 3월 말에는 5만1천대로 늘었다. 인천도 마찬가지다. 전체 전기자동차 1만8천329대 중 화물차가 17%(3천80대)를 차지한다. 문제는 충전 인프라 부족 사태다. 특히 전기화물차는 충전 인프라가 더 부족해 가는 곳마다 ‘눈총’을 받는다고 한다.
현재 인천의 전기차 충전시설은 급속 664개, 완속 4천957개 등 5천639개 규모다. 그러나 전기화물차 전용 충전소는 단 1곳도 없다. 일반전기차에 비해 전기화물차의 충전 여건은 기술적으로도 더 열악하다. 전기화물차는 하루 운행 거리가 긴 데다 1회 충전당 주행거리가 짧아 더 자주 충전해야 한다. 가장 많이 보급돼 있는 1t 포터나 봉고 전기차의 충전 최대 주행거리가 211㎞ 정도다. 전기냉동화물차의 경우 주행 충전과 냉동칸 온도 유지 충전 등 2개의 충전기가 필요하다.
이러니 전기화물차들은 가는 곳마다 ‘눈칫밥 충전’ 신세다. 1t 소형트럭 위주의 전기화물차들은 화물차 전용 주차장이 아닌 아파트 등 거주 지역에 주차한다. 전기화물차와 일반전기차들이 주거지 주차장 내 충전 시설 사용을 놓고 갈등을 빚기 일쑤다. 대부분 일반전기차보다는 충전 시간도 더 소요되니 ‘비매너 충전’ 등의 지적을 받는다. 최근 SNS 상에는 화물전기차를 ‘공공의 적’으로 지목하는 글까지 올랐다고 한다. “고속도로 휴게소마다 전기화물차가 모두 차지해 한 시간을 기다려 겨우 충전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무엇이 생업에 바쁜 전기화물차들이 충전을 못해 발을 동동 구르게 만들었나. 친환경차 보급에 급급한 나머지 충전 인프라 확충은 소홀했던 것이다. 내년부터 서울에서는 택배용 차량에 디젤 번호판이 금지된다고 한다. 전기화물차 충전난이 더욱 악화될 것이 걱정이다. 최근 화물차차고지나 화물차휴게소에 충전시설을 확충하는 내용의 법률안이 발의됐다고는 한다. 법 개정이나 중앙정부만 바라보고 있을 일이 아니다. 전기화물차를 운행하는 이들은 그날그날 가족의 생계를 걸고 생업전선을 바삐 뛰는 서민들이다. 인천국제공항과 인천항을 둔 물류도시 인천에 전기화물차 충전소 하나 없다니. 서민들 일상의 생계활동을 지원하는 것이야말로 민생대책이다. 인천시가 바로 나서야 할 민생 현안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