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7년부터 2021년까지 5년간 개인형 이동장치, 일명 ‘PM(Personal Mobility)’ 교통사고가 전국적으로 6천여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규정 강화에도 불구하고 PM 이용량과 더불어 교통사고도 함께 급증하고 있는 추세여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실정이다.
5일 한국교통안전공단 경기북부본부에 따르면 이 기간 동안 경기북부지역에는 총 306건의 PM 교통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320명이 부상을 당했고 이 중 101명(31.6%)이 중상을 입은 것으로 조사됐다.
사고건수도 증가하고 있는데, 경기북부지역은(2021년 기준), 직전년도 보다 153.3%(60건→152건) 증가했다. PM 이용 시, 인도로 주행해 보행자와 충돌하거나 도로 갓길에서 벗어나 차로 중앙 운행 및 무리한 진로 변경, 교차로 및 횡단보도를 위험하게 가로지르는 운전 행태 등이 사고를 증가시키는 원인으로 분석된다.
PM 교통사고는 피해사고보다 가해사고가 더욱 치명적이라는 특징도 있다. 가해사고의 사고건수(3천421건)와 부상자 수(3천721명)가 피해사고보다 각각 32.7%, 35.9%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사망자 수는 125%(가해 45명, 피해 20명) 높았다. 접근성이 용이한 PM의 특성상, 안전의식 수준이 다소 낮고, 별다른 보호장구 없이 빠르고 간편하게만 이용하려는 심리가 사고를 일으키는 주요 요인으로 꼽혔다.
정관목 한국교통안전공단 경기북부본부장은 “PM을 비롯한 두 바퀴 교통수단 이용자의 교통안전 의식 제고가 절실한 상황”이라며 “PM 이용 시 가장 확실하게 내 몸을 지킬 수 있는 것은 항상 규정을 지키는 이용자 스스로의 ‘안전운전’”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한국교통안전공단에서는 국민들이 안전하게 PM을 이용할 수 있도록 유관기관과 교통안전 캠페인 및 홍보를 지속적으로 실시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양휘모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