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경보시설 10개 중 6개 노후...주민 ‘안전 사각지대’ 갇혔다

시청 등 공공기관 설치된 사이렌 38% 사용기한 지나… 고장 우려
충분한 예산 없어 교체는 뒷전...市 “시의회 설득해 예산 확보 노력”

인천에 집중 호우 등 비상상황을 알려주는 경보 시설(사이렌) 3개 중 1개가 낡아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인천시는 해마다 충분한 예산을 확보하지 못하면서 사이렌 교체 사업은 뒷전으로 밀리고 있다.

6일 시에 따르면 지역 내 시청, 군·구청, 동사무소 등 공공기관의 건물 옥상 등에 모두 185개의 사이렌을 설치해 운영 중이다. 사이렌은 집중 호우, 화재, 전시 등 비상 상황이 발생했을 때 중앙 정부와 지자체가 경보 발령을 내리면 주민에게 대피 요령 등을 알리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들 사이렌 185개 중 71개(38.3%)가 내구연한이 지나 노후한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안전부는 사이렌의 내구연한을 9년으로 정하고, 자칫 노후화로 사이렌 음량에 문제가 생길 수 있는 만큼 주기적으로 교체토록 하고 있다. 그러나 설치 15년이 지난 사이렌은 3개, 14년은 16개 등 매우 낡은 사이렌도 상당하다.

특히 내년에는 내구연한이 지난 사이렌이 29개, 2023년 16개 등 해마다 노후 시설이 늘어 2년 뒤에는 116개(62.7%)에 달할 전망이다. 재난 상황 시 필수적인 사이렌 10개 중 6개가 낡아 고장 등의 우려가 있는 셈이다.

이런데도 시의 낡은 사이렌 교체 사업은 더디다. 사이렌 1개 당 교체 비용은 7천만원이다. 시는 지난 2017년 2억4천만원, 2018년 2억4천만원, 2019년 2억5천만원, 2020년 2억8천만원 등 해마다 고작 4개 정도만 교체하고 있다. 지난해 6억2천만원을 확보해 11개를 교체했고, 올해는 5억6천만원으로 9개를 교체할 예정이다. 해마다 교체하는 사이렌보다, 내구연한이 지난 사이렌의 수가 더 많은 것이다.

지역 안팎에선 최근 집중 호우와 태풍 등 주민들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사이렌 교체가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시 관계자는 “내구연한이 넘은 사이렌이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늘고 있지만, 예산 심의 과정에서 미반영되는 일이 반복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인천시의회가 사이렌을 비상 상황에만 잠깐 쓰는 시설로 봐 예산 낭비라고 인식하는 듯 하다”며 “예산 확보를 위해 사이렌 교체 필요성을 시의원들에게 알리고, 국비도 확보할 수 있도록 애쓰겠다”고 했다.

이지용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