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도 뛰어넘어… 초광역권 협력, 경기도내 접경지역 개발 ‘훈풍’

전략산업 공동육성 발전계획 윤곽...道, 시·군 의견수렴 산업부에 전달
강원도와 군사 규제 대응 등 추진...정부 지원땐 북부 균형발전 ‘탄력’

국가나 지자체가 시·도를 뛰어넘어 협력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초광역권 발전계획’의 윤곽이 나오면서 경기도내 접경지역이 성장동력의 발판을 마련하게 됐다.

도는 투자계획, 재원조달 등의 내용이 담긴 발전계획을 토대로 지역 주도 균형발전에 주력한다는 구상이다.

18일 산업통상자원부와 경기도에 따르면 산자부는 지난달 4일 이 같은 내용의 초광역권 발전계획 수립지침안을 고시, 광역지자체마다 계획안을 제출하도록 했다.

초광역권 발전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내용의 국가균형발전 특별법 개정안은 지난 6월 국무회의를 통과, 지난달 4일 시행령을 공포한 데 따른 것이다.

도가 초광역권을 설정한다면 관계 중앙행정기관장과 협의해 5년 단위 초광역권 발전계획 수립이 가능해지며, 정부로부터 광역교통망 구축과 전략산업 공동 육성 등에 대한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도는 지난 15일까지 도내 시·군으로부터 의견을 수렴, 건의안을 산자부에 전달하면서 다른 시·도와의 협력사업도 구체화되고 있다. 건의안에는 ▲초광역권의 범위 ▲발전목표 ▲현황·여건 분석 ▲초광역권 협력 및 투자재원 조달 등의 내용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도가 강원도, 충청남도 등 인접 광역지자체를 중심으로 한 초광역권 협력사업을 추진해온 만큼, 이번 초광역권 발전계획의 핵심과제로는 남북 접경지역과 서해안권의 상생발전이 꼽히고 있다. 최근까지도 강원도와 한탄강 지속 발전, 군사 규제 대응, 인프라 확충 등 접경지역 중심의 초광역 협력사업 추진에 속도를 내온 도가 초광역권 설정으로 중앙정부의 지원을 받게된다면, 수도권 규제로 낙후됐던 경기북부의 균형발전도 구체화할 수 있어서다.

또한 경기도·인천시·충청남도를 중심으로 한 첨단산업·관광벨트 조성 등 서해안권 상생발전방안도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이밖에도 김동연 지사가 주요 공약으로 내걸었던 광역교통망 역시 초광역권을 형성하는 데 주요 의제로 거론되고 있다.

도 관계자는 “구체적인 안건을 밝힐 수 없으나 도내 시·군의 의견을 취합해 산자부에 전달했다”며 “빠른 시일 내 초광역권 발전계획 수립지침안이 완성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김현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