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이후 외국인 근로자에 의존하던 경기도내 농촌인력시장이 한계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도는 ‘공공인력중개센터’를 도입해 원활한 농업인력 수급 지원체계를 구축한다는 구상이다.
19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지난 2018년 외국인 계절근로자 프로그램을 도입했다. 당시 100명 이내 외국인 근로자를 도내 시·군에 배정했지만, 코로나19 창궐시기인 2020년과 지난해에는 입국이 제한되면서 외국인 노동자들을 제때 수급하지 못했다. 기계화율이 낮은 밭작물에서는 외국인 노동자 부족 현상은 더욱 두드러졌다.
특히 민선 8기 경기도지사직 인수위원회에서는 연간 2천명 정도의 외국인 근로자가 필요하다고 추산했지만, 정작 올해 배정된 인력은 1천200여명에 그친 것으로 파악됐다.
이처럼 도내 시·군에서는 부족한 노동력을 사수하기 위해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이로 인한 부작용도 뒤따르고 있는 상황이다.
외국인 근로자를 유치하기 위해 인센티브를 내걸며 시·군간 출혈경쟁을 벌이는가 하면, 지자체의 부족한 역량으로 불법취업 알선을 돕는 브로커 또한 활개를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김동연 지사는 인수위 시절 공공인력중개센터 설치를 농업 분야 주요 공약사업 중 하나로 꼽기도 했다. 도 역시 지난 3월부터 공공인력중개센터 도입을 논의해온 만큼 급물살을 타게 됐다.
도는 공공 인력중개센터 민간위탁 동의안을 이달 도의회 임시회에 제출한 데 이어 관련 조례안을 오는 11월 도의회 정례회에 내고 내년 본예산에 사업비도 확보할 예정이다. 센터는 도농 인력중개 지원, 외국인 계절근로자 배정 및 사후관리 지원, 농업인력 지원 시스템 구축 및 데이터 관리 등의 업무도 맡게 된다.
도 관계자는 “현재 화성·평택 등 8개 시·군에서 농촌인력중개센터를 운영 중인데 광역단위의 공공 인력중개센터를 만들어 시·군 단위 농촌인력중개센터와 협력체계를 구축, 농업인력 수급 문제를 해소할 계획”이라며 “시·군 단위 센터도 내년에는 4곳 늘어날 전망”이라고 말했다.
김현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