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치매극복의 날] 인력난에 커진 돌봄 사각지대, 중증 치매 어르신 누가 돌보나

환자 의사결정 돕는 후견인 부족...‘심판청구’한 환자 85명에 머물러
‘道광역치매센터, 대상발굴 어려워...“보건소로 차출된 인원 많은 탓”

치매관리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한 법정기념일인 ‘치매극복의 날(9월21일)’이 찾아왔지만, 경기도내 치매중증환자에 대한 돌봄 서비스는 여전히 제자리걸음인 것으로 나타났다.

도내 46개 치매안심센터를 총괄, 선제적으로 치매환자를 지원하는 도 광역치매센터가 증가추세인 환자 수에도 고질적인 인력난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20일 경기도에 따르면 ‘경기도 치매 공공후견사업’을 지원받는 피후견인(치매환자)은 지난 2020년 43명, 지난해 53명, 올해 56명(9월20일 기준)이다. 매년 소폭 증가하는 추세지만 이는 도내 치매환자 18만8천537명(지난해 기준) 중 1%도 안 되는 수치다.

도가 자체적으로 추진 중인 공공후견사업(사업비 1억6천500만원)은 치매환자가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경기도광역치매센터를 통해 제공 중인 복지 서비스다. 의사결정 능력이 부족한 치매 어르신에게 후견인을 보내 통장 등의 재산관리나 관공서 서류 발급, 병원 진료, 물건 구입 등이 가능하도록 돕는다.

문제는 치매안심센터가 치매환자를 발굴하기 위해서는 ‘후견심판청구’라는 법적인 절차를 밟아야 하는데, 여러 검증단계를 거치게 돼 있어 대상자가 한정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사업 대상자로 선정되지 않은 치매 어르신의 경우 복지사각지대에 놓일 우려가 있다. 실제로 올해 심판청구를 한 도내 치매환자는 85명에 머물렀다.

더욱이 도 광역치매센터가 관리하는 치매안심센터의 운영인력 26%가 미달 상태로 드러나 대안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현재 도내 치매안심센터의 정원 1천180명 중 877명이 충원된 상태로, 예방사업을 넘어선 돌봄 인력 마련이 어렵다는 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이와 관련, 도 광역치매센터에 근무 중인 A씨는 “중증치매환자의 경우 지속적인 돌봄이 절실하지만 이를 수행할 전담 인력이 부족해 지원이 쉽지 않다”며 “공공후견사업을 제공하는 후견인도 도내 44명뿐이라 경기도 차원의 적극적인 인력충원 및 체계 마련이 절실하다”고 호소했다.

도 관계자는 “심판청구라는 절차적 문제로 치매 공공후견사업 대상 발굴이 쉽지 않은 현실”이라며 “특히 보건소 인력으로 치매센터가 운영되고 있다 보니 코로나19로 차출된 인원도 많아 일손이 부족하다”고 설명했다.

손사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