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동구가 토지 정보를 디지털화 해 행정에 접목할 수 있도록 3차원 가상도시를 마련한다.
21일 구에 따르면 ‘디지털 트윈 행정을 위한 인천동구 3차원 가상도시 구축 계획안’을 세우고 오는 2025년까지 총 6억4천여만원을 투입해 단계별 3차원 가상도시 모델 조성에 나선다.
‘디지털 트윈 행정’은 입체적이고 정밀한 디지털 가상 도시를 구축해 행정정보와 융합하는 시스템이다. 실시간 모의 실험을 통해 도시의 변화와 문제점들을 사전예 예측할 수 있어 행정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이다.
우선 구와 한국국토정보공사(LX)는 항공사진과 레이저 측량, 드론 측량을 토대로 기본 데이터를 만들고, 재개발 사업 구역의 미래 모습을 3차원으로 구현할 계획이다.
특히 구는 지역 내 주요 건물의 실내 공간 정보를 3차원 공간으로 만들어 지역 문제를 해결하는 데 사용할 예정이다. 또 구는 도시계획 및 관리부서가 협의 과정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디지털 가상도시 모델을 마련한다. 이렇게 만든 가상도시를 토대로 ‘안전’, ‘교통’, ‘행정’, ‘환경’ 등 지역현안과 도시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특화 모델로도 확대한다. 마지막으로 구는 인천 동구 메타버스 플랫폼을 만들어 주민 참여를 확대할 예정이다.
앞서 구는 지난 13일 한국국토정보공사(LX)와 ‘디지털 트윈 기반 행정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했다. 구는 당시 협약식을 통해 디지털 가상도시를 만들어 행정정보와 융합해 실시간으로 모의 실험 할 수 있는 환경을 구현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구 관계자는 “디지털 트윈 기반의 실시간 분석 및 시뮬레이션을 통해 도시 정보를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동시에 도시 문제 해결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어 “주민들이 사용하기 위해서는 법적인 문제가 남아있어서 법적 문제를 해결한 뒤 상용화에 대해 고민할 것”이라고 했다.
김지혜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