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 8기 경제 활성화를 전면에 내세운 수원특례시가 대학·기업 소유 토지에 기업을 유치한다는 계획을 내놓았다.
또 국·공유지 유휴부지 활용 및 유치 기업에 대한 인센티브 지원 등으로 경제특례시에 방점을 찍는다.
이재준 수원특례시장은 21일 수원컨벤션센터 회의실에서 개최한 ‘기업인 원탁토론, 기업 유치 전략발표회’에서 이 같은 내용의 ‘기업 유치와 지원 전략’을 발표했다.
우선 시는 ‘수원형 규제샌드박스’ 도입으로 대학·기업의 땅을 향한 첨단기업의 관심을 끌 예정이다. 이를 위해 해당 토지에 대한 도시계획을 수립, 반영하거나 용도를 변경하는 등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든다. 용적률, 건폐율 상향 역시 고민 중이다.
유치 대상은 ▲본사·주요시설을 관내로 이전하는 첨단기업 ▲300억원 이상을 투자하는 기업 ▲이전 후 10년 이상을 관내에 머무는 계획을 갖춘 기업 등이다.
만약 토지 소유주인 대학이나 기업이 반영된 도시계획을 이행하지 않거나 마음대로 변경하면 시는 수원형 규제샌드박스를 즉시 중단해 부당한 특혜 및 지원을 방지한다.
시는 또 소유기관과 협의, 국·공유지 유휴부지를 가용용지로 탈바꿈한다는 입장이다. 공모 절차와 기업유치위원회, 투자유치심의위원회 구성·운영해 희망 기업과 지원 규모를 결정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조례 개정을 통해 지역에 들어선 기업에 인센티브를 준다. 50억원 이상의 신규 투자를 한 관내 첨단기업이나 다른 지역의 기업이 수원으로 이전하면서 50명 이상의 신규 고용을 했을 경우, 토지매입비·건축비, 건물취득비의 6%(최대 5억 원)를 지원한다. 여기에 3년 동안 임대료 50%(최대 3억 원)에 대한 도움을 준다.
이 외에도 기존 기업의 이탈 방지를 위해 시는 ‘수원 엔젤펀드’ 조성, 중소기업 현장 중심 지원 등을 추진한다.
이 시장은 “26만4천㎡ 규모의 탑동지구 도시개발사업(권선구 탑동)을 추진하고 있으며 서북부 지역에선 수원 R&D 사이언스파크의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며 “이러한 사업이 완성되면 첨단산업 R&D 클러스터가 조성되는 등 신성장 기술개발 터전이 마련된다”고 말했다.
이어 “기업 유치는 가장 효과적이고 직접적인 지역 성장 동력”이라며 “기업들 사이에서 ‘수원에서 기업하기 좋다’는 말이 나올 수 있도록 수원특례시의회와도 적극적으로 협조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 자리에 참석한 기업인, 청년 창업가 등 60여명은 경영 애로 사안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양휘모·이정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