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꾸는 경기교육] 공유킥보드의 양면

친환경·경제성 두 토끼 잡았지만 도시 미관·안전·위생 문제 발생
킥보드 사고율 2년새 4배 증가 개인·회사·정부 역할 분담 중요

image
이경찬 안산 양지중

9월의 어느 맑은 날 오후 길을 가고 있었다. 그때 반대편에서 빠르게 무언가 왔다. 공유킥보드를 탄 사람이었다. 나는 옆으로 피하려 했지만, 상대도 같은 곳으로 피하는 바람에 부딪힐 뻔했다. 나는 빠른 속도로 보도를 통과하는 공유킥보드를 보며 눈살을 찌푸렸다.

요즘 많이 볼 수 있는 광경이다. 공유킥보드는 빠르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공유킥보드로 인한 문제도 나타나고 있다.

우선 공유킥보드의 장점을 살펴보자. 첫 번째로 친환경적이다. 전기로 작동되는 킥보드인 만큼 친환경적이고 대중교통처럼 공유하니 일반 개인용 킥보드보다 효율이 훨씬 높다.

두 번째로 편리하다. 자전거와 비교했을 때 자전거보다 작고 가벼워 더 자유롭게 다닐 수 있고 전기로 작동돼 더 편하게 이동함과 동시에 전자장치를 이용해 지정된 장소까지 갈 필요 없이 어디에든 놓아둘 수 있다.

세 번째는 경제적이라는 것이다. 물량이 많아 어디서든 싸게 이용할 수 있어 소비자들에게 좋고 회사도 사용자가 많아지면 매출이 커지니 좋다. 게다가 정부도 회사에서 안전을 위한 규제를 알아서 마련하니 단속이 쉬워 상부상조를 할 수 있다.

공유킥보드의 문제는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주차 문제다. 공유킥보드를 세우거나 보관할 만한 장소가 많지 않다. 그래서 사람들은 킥보드를 타고 목적지에 도착하면 그 자리에 아무렇게나 놓고 가는 경우가 있다. 이럴 경우 통행을 방해할 뿐더러 도시 미관을 해친다.

두 번째는 안전의 문제다. 이 문제는 시민 의식의 문제라 할 수 있는데 아무리 킥보드 회사에서 안전에 대해 안내를 하더라도 지키지 않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이다. 원동기 면허 없이 타거나 헬멧을 쓰지 않거나 하나에 여럿이 타는 등의 행위 말이다. 심지어 이것들은 법으로 금지돼 있다. 그런데도 아직도 지키지 않는 모습을 종종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킥보드로 인한 사고가 2년 만에 4배 이상 증가하기도 했다.

세 번째는 위생의 문제다. 전동킥보드는 보통 24시간 이상 운영되는 경우가 많다. 오랜 시간 밖에 있어 먼지가 쌓이고 다른 사람이 쓴 손잡이, 헬멧을 같이 쓰면 감염병이 전파될 가능성도 있다. 더구나 지정된 사용 장소가 없어 회사에서 관리할 수 도 없다.

그렇다면 전동킥보드의 장점을 살리면서 단점을 줄일 방법은 무엇일까? 첫 번째로 개인의 노력이다. 탈 때 안전 수칙을 잘 읽고 준수하며 타고난 후 통행에 방해가 되지 않는 곳에 잘 주차를 해놓아야 한다.

두 번째는 회사의 노력이다. 킥보드에 안전장치와 위생을 위한 장치를 마련하고 이용자들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 광고, 홍보하며 킥보드로 인해 일어난 문제에 대해 책임질 수 있어야 한다.

세 번째는 정부의 노력이다. 킥보드에 관련된 법망을 촘촘히 만들고 이를 잘 홍보해 많은 사람이 알도록 하고 공유킥보드를 위한 주차 관리 시설을 설치해 공유킥보드를 회사와 같이 주기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사실 가장 중요한 것은 세 번째다. 왜냐하면 현대 사회에서의 문제는 몇 사람이 노력한다고 해서 해결되는 것이 아니고 그 문제가 일어나는 사회에 소속된 모든 사람이 같이 노력해야 해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나는 미래에 우리가 높아진 시민 의식과 잘 정돈된 대중교통과 전동킥보드로 친환경적이고 아름다운 도시에서 살 수 있을 것이라 믿는다.

이경찬 안산 양지중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