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 “준공영제 확대 담보 못해”...경기지방노동위 오늘 조정회의 결렬땐 도내 버스 10대 중 9대 멈춰
29일 예정된 경기지방노동위원회의 최종 조정회의에 따라 ‘시민의 발’인 경기도 버스 10대 중 9대의 운행 여부가 결정된다.
특히 경기도버스노동조합협의회(이하 노조협의회)가 경기도가 제시한 절충안인 ‘시내버스 준공영제 전 노선 확대 추진안’에 대해 28일 공식 반대 입장을 내놓으며 사측과 노조 측의 막판 마라톤 줄다리기가 치열해질 전망이다.
경기도가 지난 27일 노조협의회에 보낸 공문에 따르면 도는 △도지사 임기 내 시내버스 준공영제 전면 확대 추진 △시군 간 노선은 경기도 주관으로 2025년까지 준공영제 전환 △시군 내 노선은 각 시군이 주관하되 도가 재정 지원 △광역버스를 제외한 노선은 기존 ‘노선 입찰제 준공영제’ 대신 ‘수입금 공동 관리형’으로 추진 등을 제시했다.
이에 대해 노조협의회는 이날 성명서를 통해 “경기도 시내버스 전면 준공영제 시행이 누구도 담보할 수 없는 ‘시군과의 협의’라는 불확실한 확대 시행 추진안이라는 점에서 거부한다”고 밝혔다.
노조 관계자는 “경기도의 준공영제 전면시행 추진안 발표에 대해 노동조합의 입장을 정리 중이다. 정책 목표만 있지 세부적인 로드맵은 빈약해 수용 여부를 검토 중”이라며 “사용자 측에 요구한 교섭쟁점이 남아있어 오는 29일 조정회의는 예정대로 열릴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경기도의 새 대책 발표에도 노조가 파업을 철회하지 않으면서 오는 30일 버스가 멈출 가능성이 남아있다.
앞서 노사 단체교섭 결렬에 따라 노조는 지난 14일 경기지방노동위원회에 노동쟁의 조정신청을 접수했다.
지난 23일 진행된 1차 조정회의는 입장차만 확인한 채 끝난 것으로 알려졌으며, 29일 오후 3시 2차 조정 회의마저 결렬될 경우 30일 첫차부터 노조는 총파업에 돌입한다.
총파업에는 일반 시내외버스인 민영제노선 8천500여대, 광역버스인 준공영제 노선 2천100여대 등 1만600여대가 참여해 도내 전체 노선버스의 92%가 멈출 위기에 처할 수 있다.
노조는 경기도에 버스 준공영제 전면 확대 시행, 사측에 서울버스 대비 월 60만~100만원 적은 임금격차 해소, 하루 17~18시간 장시간 운전 근절 위한 1일2교대제 시행 등을 요구해왔다.
양휘모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