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도시재생전략계획 변경 추진…지역 여건에 맞는 원도심 재생나서

최도수 인천시 도시재생녹지국장이 29일 시청 기자실에서 도시재생녹지국 소관 현안과 관련해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인천시 제공

인천시가 원도심의 특성을 살린 맞춤형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한다.

29일 시에 따르면 최근 ‘인천도시재생전략계획’의 변경을 준비하고 있다. 시는 종전 5개로 나눈 도시재생사업의 유형을 ‘경제재생’과 ‘지역특화재생’ 2가지 유형으로 통폐합하고 선택과 집중을 통한 도시재생사업 지원에 나설 계획이다. 이는 지난 7월28일 정부가 발표한 ‘새정부 도시재생 추진방안’의 기본 방향인 ‘도시공간 혁신 도모’ ‘도시경쟁력 강화’, ‘지역균형발전 선도’ 등을 반영한 결과다.

시는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10년마다 1번씩 도시재생의 방향을 정한 ‘인천도시재생전략계획’을 수립하고, 5년마다 1번씩 정비하고 있다. 앞서 시는 24개 지역의 도시재생사업을 ‘경제기반형’, ‘중심시가지형’, ‘일반근린형’, ‘주기지지원형’, ‘혁신지구형’으로 추진하고 있다.

특히 시는 올해 원도심 지역인 921.74㎢를 대상으로 관련 용역에 착수해 도시재생 신규 제도 대상지 발굴과 지속가능한 성과관리 방안을 제시할 계획이다. 시는 이번 용역에 총 4억원을 투입해 오는 2024년까지 최적의 대안을 도출해 낼 예정이다.

또 시는 이번 용역을 통해 지역 고유자산을 활용한 도시브랜드화 방법과 중심·골목 상권과 원도심 재생 방법에 대한 구상을 그린다. 이어 시는 제물포 르네상스 사업와 연계해 공공주도의 쇠퇴지역의 상업·산업·주거 등 도시기능의 복합 개발도 발굴할 방침이다.

이 밖에도 시는 현재 24개 지역에서 산발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도시재생사업의 집행률를 끌어올리기 위해 착·준공 현황을 관리하고, 사업 추진 현황을 주기적으로 점검해 현장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최도수 시 도시재생녹지국장은 “새정부의 정책에 맞춘 계획 변경과 지역별 맞춤형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경제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등 사업효과를 극대화 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이를 통해 침체한 원도심에 활력을 불어넣고, 도시의 자생적인 성장기반과 지역경쟁력을 키울 것이다”고 했다.

김지혜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