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원도심에 스마트시티 환경을 조성해 신도심과 원도심간의 디지털 격차를 줄인다.
4일 시에 따르면 ‘2023년 스마트빌리지 보급 및 확산사업 추진 계획안’을 마련하고 인천경제자유구역(IFEZ)과 원도심 사이의 스마트도시 균형발전을 추진한다. 시는 총 209억원을 투입해 원도심의 생활안전과 편의를 도울 디지털기술(ICT)를 도입한다.
시는 지난해부터 IFEZ를 대상으로 스마트시티 사업을 추진했지만, 원도심은 소외받고 있다고 판단했다. 스마트시티란 ICT를 이용해 생활 안전 및 편의, 범죄예방 등 생활에 필요한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시는 직접 추진하는 ‘광역형 스마트 선도서비스’를 추진하는 한편, 군·구와 함께하는 ‘생활밀착형 스마트 솔루션’, ‘군·구 스마트 특화서비스’ 등 3가지 추진 과제를 기반으로 모두 21개의 사업을 추진한다.
우선 시는 영상분석을 기반으로 어린이와 치매노인의 실종을 예방하는 서비스와 원도심 주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인천형 스마트 주차 플랫폼’을 구축한다. 또 내항 재생에 따른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내항 1·8부두 인근의 약 50만㎡을 가상 콘텐츠로 만드는 ‘XR메타버스 실감도시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어 시는 다중이용시설의 화재대피를위한 ‘인공지능(AI) 기반 다중이용시설 재난대피 안내 시스템’도 선보일 예정이다.
특히 시는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군·구별 스마트 서비스 보급도 나선다. 시는 계양구 효성1동을 스마트타운으로 설정하고 ICT기술을 이용한 범죄예방 사업을 추진한다. 또 시는 남동구의 경우 ‘소래포구 전통어시장 스마트정보 플랫폼’을 구축해 어시장의 시세 가격과 주차, 편의시설 정보를 제공한다. 이어 연수구와 서구에는 각각 흡연 관련 상습 민원 지역에 무인 단속 및 금연 계도 시스템을 도입하고, 원도심 공원 환경을 개선할 예정이다.
이 밖에도 시는 군·구와 논의 해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스마트 횡단보도와 공유주차장, 안전교차로, 그늘막, 벤치 등을 확대할 예정이다.
시는 관계자는 “군·구와의 스마트시티 지원 사업 논의를 통해 주민 생활에 필요한 사업들을 추진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이번 사업을 통해 신도시와 원도심간의 스마트시티 격차를 줄여 균형발전을 꾀할 것”이라고 했다.
한편, 시는 국토교통부의 ‘2022년 스마트 도시·서비스 인증 공모사업’에 선정, IFEZ내 스마트시티 통합운영센터를 운영하면서 방재·환경·방범 등 공공서비스를 성공적으로 제공한 것에 대해 높은 점수를 받았다. 또 대중교통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능형 합승택시와 수요응답형 버스를 운영하기도 했다.
김지혜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