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따른 금리 인상으로 경기지역 부동산 거래량이 실종된 가운데 도내 미분양 주택 수가 큰 폭으로 상승했다.
매매건 전·월세건 ‘살고 싶은 곳’이나 ‘살 가치가 있는 곳’에서만 거래가 이뤄지고 있는 셈인데, 이 같은 기류가 경기 남·북부 양극화로도 이어질 가능성이 나온다.
10일 경기도부동산포털에 따르면 지난 9월 기준 도내 아파트 거래량은 총 1천755건으로 올해 들어 가장 낮았다. 지난해 동기 대비 약 82% 감소한 수치다.
경기지역 아파트 거래량은 지난 4월 6천647건으로 집계된 이후 줄곧 내리막을 걸었다. 현 시점에선 반년도 안 된 사이에 거래량이 73%가량 수직 하락한 상황이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평택의 거래량이 208건으로 그나마 가장 많았고, 과천이 3건으로 가장 적었다.
올 1월부터 9월까지 아파트 거래량을 다 더해도 총 3만6천968건에 그친다. 지난해 같은 기간(12만9천981건)의 28.4% 수준이다. 이러한 추세가 지속된다면 올해 아파트 거래량은 지난 2012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역대급 부동산 시장 침체기’ 무렵(9만4천615건)을 밑돌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더욱이 오는 12일 추가 금리 인상까지 예측되면서 주택 거래 수요자들의 대출을 통한 자금 마련도 원활하지 않을 것으로 점쳐진다. 아파트뿐 아니라 여타 주택들의 거래량도, 집값도 냉각기다.
이에 따른 여파로 도내 미분양 주택 수는 증가세를 보인다. 올 8월 기준 경기지역의 미분양 주택(아파트 기준)은 총 3천180호였는데, 지난 1월(855호)과 비교하면 약 271% 늘어났다. 작년 8월의 789호와 비교해도 1년새 약 303% 급증한 수치다. 무엇보다 의정부·연천 등 경기북부 11개 시군의 경우 1천625호로 경기남부지역(1천555호)보다 공실이 70호 더 많았다.
전문가들은 부동산 거래 실종으로 인한 집값 하락 및 지역별 양극화 양상이 경기도에서 나타날 수 있다고 진단한다. GTX나 지하철 연장과 같은 교통 여건, 3기 신도시 이슈 등으로 ‘남부권 호재’만 위력을 발휘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현재 집값이 떨어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장기적인 하락장으로 접어들었다고 보기 힘들다. 교통 호재 등이 있는 경기지역으로 전출하려는 수요는 여전히 살아있기 때문”이라면서도 “서울의 한강변 아파트가 ‘신고가’를 기록하는 것처럼 입지요건에 따른 지역별 양극화 현상이 경기권에서도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경기도의 경우 호재가 많은 남부지역과 그렇지 못한 북부지역의 집값 격차, 거래량 격차는 앞으로 더 벌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김정규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