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혁신” vs “체계 위협”... 교육계, 일반대 온라인 학위 확대 ‘온도差’

2024년부터 첨단분야 취득 가능... “빠르게 늘어난 교육 수요 맞춤”
일각선 “사이버대 취지 무색” 팽팽... 교육부 “첨단분야 외 아직 계획 無”

교육부가 일반대학의 온라인 학위 취득 범위를 확대하면서 교육계가 뚜렷한 온도차를 보이고 있다. 교육 혁신에 있어 필수적인 단계라는 의견과 기존에 형성된 교육체계의 기반을 무너뜨릴 수 있다는 우려가 팽팽히 맞서고 있다.

10일 교육부에 따르면 교육부는 최근 ‘일반대학 온라인 학위과정’ 관련 훈령을 개정해 2024년부터 일반대학에서 첨단분야 온라인 학사 학위를 취득할 수 있도록 했다. 첨단분야는 인공지능, 빅데이터, 차세대 반도체, 차세대디스플레이, 차세대 통신, IoT 가전, AR·VR, 미래차, 바이오헬스, 맞춤형 헬스케어, 혁신 신약, 첨단신소재 등 21개 분야다.

기존에는 국내 대학(원)에선 석사 학위와 국내·해외대학 간 온라인 공동 학사 학위과정만 허용돼 수도권의 ▲경인교대 교육전문대학원 컴퓨터교육 전공 ▲국민대 소프트웨어융합대학원 인공지능응용 등을 비롯해 전국 6개 대학 7개 석사과정에서만 온라인 학위 취득이 가능했다.

이를 첨단 분야 학사 학위 과정으로 넓혀 일반대학에서도 단독으로 온라인 학사 학위 취득을 가능케 한다는 것인데, 교육계에선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정제영 이화여대 교육학과 교수는 “최근 첨단분야의 교육 수요가 빠르게 늘고 있는데, 지방에 있는 교육 수요자들은 배제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 공간적 제약을 해결해 주는 것이 온라인 교육”이라며 “중장기적으로는 교육계가 유연한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혁신적인 방안”이라고 평가했다.

반면 일각에선 사이버대 등 기존에 형성된 온라인 교육체계의 설립 취지와 목적이 퇴색될 수 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김영철 한국원격대학협의회 사무국장은 “코로나 사태 이후 이미 일반대와 사이버대 간의 경계가 무너진 상황인데, 일반대의 온라인 학위 과정 확대는 지금의 온라인 교육체계를 완전히 뒤집는 것”이라면서 “일반대의 온라인 학위 취득 제도가 더 확대될 경우 사이버대나 지방 대학의 소멸까지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교육부는 교육계의 입장을 고려해 당분간 첨단 분야 외 교육 과정의 온라인 학위과정을 신설할 계획은 없다는 방침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첨단분야를 제외한 영역은 기존에 운영 중인 사이버 대학들과 상당수 겹치는 부분이 있다”면서 “방송통신·사이버대학교 등의 입장을 고려해 첨단 분야 외 온라인 학사 과정을 마련할 중장기적 계획은 아직까지 준비하고 있지 않다”고 설명했다.

한수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