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장애인 자립 위한 임대주택 20가구 공급…LH·장애인주거전환지원센터 협약

11일 인천시청 대접견실에서 열린 ‘장애인 지원주택사업 업무협약식’에서 박봉규 LH(한국토지주택공사) 인천지역본부장(왼쪽부터), 이행숙 인천시 문화복지정무부시장, 정재원 장애인주거전환지원센터장이 협약서에 서명 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인천시 제공

인천지역 내 시설에 사는 장애인들이 사회 구성원으로 정착해 자립할 수 있도록 임대주택 20가구가 추가로 생긴다.

인천시는 11일 LH(한국토지주택공사) 인천지역본부와 장애인주거전환지원센터 등과 함께 자립장애인의 안정적인 지역사회 정착을 위한 ‘장애인 지원 주택사업’ 업무협약을 했다.

이번 협약은 장애인이 지역사회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독립생활용 주택공급, 자립지원 서비스제공 및 사례관리 등 협력 내용이 담겨 있다. 시가 관련 정책을 주도하고, LH 인천본부는 중구 신흥동에 있는 독립생활용 54∼74㎡ 규모의 임대주택 20가구를 자립 희망 장애인에게 공급한다. 센터는 다양한 서비스를 연계·제공해 장애인들의 자립과정 전반을 지원한다.

앞서 시와 LH인천본부는 지난해 ‘제1차 장애인 지원주택사업’을 통해 주택 8가구를 공급했다. 이번에 2차 공급 주택 20가구는 장애인들을 위한 시설 설치와 더불어 비장애인들과 소통을 위한 커뮤니티 공간 등을 추가했다.

특시 시는 내년에 이뤄질 3차 공급은 장애인 자립지원주택을 테마로 하는 ‘테마형 임대주택’을 민간 공모 참여방식으로 바꾼다. 설계단계부터 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 등을 반영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arrier Free) 주택 제공을 계획해 사회적 가치를 더욱 높여나갈 계획이다.

시는 지난 2018년 시설거주 장애인의 탈시설 및 지역사회 통합지원 5개년 계획을 세운데 이어 2020년에는 장애인 자립생활 지원조례 제정, 지난해에는 장애인 주거전환 지원센터를 여는 등 그동안 장애인의 자립지원을 위한 인프라 구축에 힘써왔다.

시는 또 지난 3월에는 보건복지부의 ‘탈시설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지원 시범사업’에 선정, 오는 2024년까지 3년 동안 지역 내 장애인이 안정적으로 지역사회에 자립할 수 있는 경로를 조성하고 체계적인 서비스 지원 모형을 발굴할 예정이다.

이행숙 시 문화복지정무부시장은 “앞으로 장애인들이 지역사회의 구성원으로 당당하게 자립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어 “LH 인천본부 및 주거전환지원센터와 함께 지속적으로 업무 협력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했다.

이민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