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중기 ESG 경영 도입, 정부·지자체가 적극 지원해야

중소기업 절반 이상은 자사의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수준이 미흡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자료에 따르면 지난 8월 중소기업 1만4천228곳이 ESG 수준을 자체 진단한 결과 절반 이상이 E·G 부문에서 ‘미흡’ 등급인 4~5등급을 받았다. E 부문의 경우 65.5%인 9천324곳이 4~5등급을 받았고, G 부문도 56.6%(8천52곳)가 4~5등급이었다. 중소기업 절반이 ‘미흡’ 평가를 받았지만 업체들은 이후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른다고 했다.

기후위기와 전 세계적인 탄소중립 정책으로 기업경영의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 기업에 대한 ESG 경영 압박이 속도를 더하며 공고해지고 있다. 대외적으로는 국제회계기준(IFRS) 재단이 ESG 공시기준의 국제표준 제정을 위해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를 설립했다. 대내적으로는 코스피 상장사 기업들이 ESG 위원회를 설립하는 등 대기업들은 ESG 경영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기업의 ESG 경영은 이제 선택의 영역이 아닌 필수 요소가 됐다.

하지만 중소기업들은 ESG 경영이 큰 부담이다. ESG 경영 필요성에 공감하지만 정보 부족과 예산·전문인력 등의 문제로 도입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중소벤처기업부는 모양새만 갖춰 놓고 손 떼고 있을 게 아니라 전문가 컨설팅 등 촘촘한 ESG 종합지원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지방자치단체 또한 적극 지원에 나서야 한다.

우리나라 전체 중소기업의 25%가 수도권에 소재하는데 경기도의 지원은 턱없이 부족하다. 도는 올해부터 일부 산하기관과 함께 중소기업 ESG 도입을 위한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중소기업 ESG 경영 도입 기반 조성사업’이 대표적이다. 총 1억원 규모의 사업으로 우수 중소기업 ESG 진단평가 지원, ESG 경영 기본교육 과정, ESG 교육 콘텐츠 보급 등을 지원한다. 하지만 도 산하기관에는 ESG 전담조직이나 인력이 없어 정책 추진이 쉽지 않다.

도내 중소기업의 ESG 경영 활성화를 위해선 경기도의 역할이 중요하다. 중소기업이 ESG 경영을 도입하기에는 조직·인력·재정 등 제반 여건이 상당히 열악하다. 경영구조상 비재무적 사회적 가치인 ESG보다는 이익 창출이라는 재무적 가치에 더 중점을 두고 있는 현실이다. 도 차원의 지원을 대폭 확대해 실무교육이나 우대금리 적용, 세금감면 등 중소기업들이 자체적으로 ESG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돕는 실효성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 ESG 컨설팅 전문업체 등 민간단체를 활용하는 것도 해법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