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도박중독 청소년 증가, 교육당국 관심·지원 절실하다

도박은 더 이상 성인들의 전유물이 아니다. 많은 청소년들이 온라인을 통해 도박의 늪에 빠져 중독이 심각하다. 청소년들은 도박을 게임의 한 종류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하다. 친구들과 어울리기 위한 또래문화로 생각하기도 한다. 그러다 보니 어느새 중독이 되고, 2차·3차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도박 중독으로 병원 치료를 받은 경기도내 10대 환자는 2017년 6명에서 2018년 19명, 2020년 16명, 2021년 24명으로 최근 5년간 4배 증가했다. 한국도박문제예방치유원이 도내 청소년의 도박 중독 상담을 접수한 건수도 2020년 54건, 2021년 61건, 올해 8월 기준 43건 등으로 늘어나는 추세다.

청소년들이 온라인 도박에 빠져드는 건, 도박 사이트에 쉽게 접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청소년들은 인터넷, 스마트폰을 많이 이용하는 세대여서 온라인 도박에 노출될 기회가 많은 데다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사적인 공간에서의 시간이 늘어 도박 중독이 늘었다는 분석이다. 구글 등 포털사이트에 ‘스포츠 토토’를 검색하면 수십개의 불법 사이트가 나온다. 이들 사이트는 계좌 명의가 일치하는지 등의 정보만 확인할 뿐 특별한 성인 인증을 하지 않는다.

청소년은 발달 특성상 심리적·신체적 불안정성이 높아 도박 중독이 심각한 문제로 번질 가능성이 높다. 경제력이 없기 때문에 도박으로 인한 금전 피해를 사채나 극단적 선택 등으로 해결하거나, 절도·갈취 등 2차 범죄로 이어지기도 한다. 실제 경기남·북부경찰청에서 도박 문제로 청소년을 검거한 건수는 2019년 2명에서 지난해 14명으로 늘었다.

청소년기의 도박은 매우 위험하다. 문제 도박자의 50% 이상이 청소년기에 도박을 시작했다고 한다. 도박하는 청소년은 충동성, 알코올 남용, 불법약물 사용, 우울 및 불안 수준이 높게 나타나기도 한다. 청소년기 도박 습관이 학업과 교우관계, 성년기의 삶 등에 큰 영향을 미치는 만큼 도박에서 빠져나올 수 있게 도와줘야 한다. 제때 치료받지 못하면 중독 증상이 심해져 삶이 망가질 수 있다.

청소년의 도박 예방을 위해서는 정부와 지자체, 교육기관 등이 적극 나서야 한다. 하지만 도박 예방교육이 의무사항이 아니라는 이유로 경기도교육청은 소홀하다. 6월에 개정된 학교보건법에는 ‘도박중독 예방’을 위해 보건교육을 하도록 명시했다. 음주·흡연·마약·성교육 등 기존에 이뤄졌던 중독 교육에 도박을 포함시켰다.

부산시교육청과 전남도교육청은 예산을 편성해 도박중독 예방 교육을 하고 있다. 경기도교육청은 공문을 통해 권고만 할 뿐이다. 예산도 확보하고 교육을 의무화해 청소년 도박 중독을 막아야 한다. 지자체와 민간단체의 관심과 지원도 중요하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