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은 중소기업이 ESG 경영으로 나아가는 데 가장 큰 걸림돌로 ‘자금’을 꼽고 있다.
중소기업들이 ESG 경영 도입에 있어 가장 큰 애로사항이 ‘전문인력 부족’, ‘제한된 재원’ 등인데 이는 결국 금전 문제로 귀결된다는 것이다.
기업의 ESG 경영을 지향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대두되면서 중소기업의 ESG 경영 도입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다. 그러나 ESG 경영도 자금이 뒷받침 돼야 하는 상황에 중소기업은 진땀을 흘리고 있을 뿐이다.
이러한 이유로 전문가들은 중소기업에게 ‘당근’이 되는 지자체 차원의 지원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중소기업의 역량을 키울 수 있는 실무교육과 함께 환경기업 우대금리, 세금감면 등 ESG 경영을 도입한 기업에 한해 금전적인 혜택이 주어질 수 있도록 실질적인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전문가들은 등급제로 이뤄지는 ESG 평가를 나라장터 등에 반영해 중소기업이 ESG 경영을 도입할 수밖에 없는 환경을 구축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이익에 따라 움직이는 것이 기업인만큼 자발적으로 ESG 도입에 앞장설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는 의미다.
신지영 한국ESG연구원 대표는 “당장 대기업이나 글로벌 기업으로부터 ESG 평가서를 요청받는다고 해도 이상하지 않은 수준으로 ESG는 현재 모든 중소기업이 직면한 문제”라며 “캠페인 측면에서 ESG를 바라보고, 지자체 차원에서 ESG 경영에 대한 사회적 합의점을 찾아 중소기업들이 기민하게 움직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선희 지속가능경영재단 이사장은 “지자체도 ESG 경영 확산의 필요성을 느끼고 중소기업들을 지원하고 있지만 지원 예산 부족 등의 문제로 실질적으로 중소기업들이 체감하는 부분은 미미하다”면서 “지자체 차원에서 민간 전문과들과 협력해 실질적으로 중소기업들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을 함께 강구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K-ECO팀=이호준·이연우·한수진·이은진기자
※ ‘K-ECO팀’은 환경(Environment), 비용(Cost), 조직(Organization)을 짚으며 지역 경제(Economy)를 아우르겠습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