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2026년까지 146억 투입... 디지털 생태계 조성 추진
인천시가 인천경제자유구역(IFEZ)인 송도·영종·청라국제도시를 ‘블록체인 경제구역’으로 지정하고 블록체인 기업의 허브도시로 나아간다.
15일 시에 따르면 오는 2026년까지 총 사업비 146억원을 투입해 블록체인 기업을 유치할 디지털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블록체인 허브도시, 인천 조성 추진 전략안’을 마련했다.
시는 최근 정부의 ‘디지털자산 민·관 합동 태스크포스(TF)’를 출범하는 등 블록체인 산업이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전국의 디지털 기업 8만3천154곳 중 현재 인천에는 4천875곳(6%)에 달해 전국 17개 시·도 중 3번째로 높지만, 정작 블록체인 전문기업은 17곳에 그친다. 시는 고부가가치를 생산할 블록체인의 전문인력이나 원천기술 등이 부족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시는 우선 내년 예산 2억원을 들여 ‘디지털 자산 경제구역 조성을 위한 마스터플랜 실행계획’을 마련한다. 시는 이번 계획을 통해 오는 2026년까지 디지털 산업 생태계로 나아가기 위한 방향과 비전을 구상한다.
특히 시는 이 마스터플랜을 바탕으로 IFEZ내 역점 사업을 중심인 바이오·물류·금융의 특성을 고려한 디지털 자산 경제구역을 조성한다. 시를 이를 통해 단순히 ‘비트코인’으로 대표하는 블록체인 금융 산업 뿐 아니라 헬스케어·게임·콘텐츠·지역화폐·물류·에너지 등 산업 다양화에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시는 장기적으로 IFEZ의 블록체인 기술을 제물포 등 원도심 지역에 공유주차장, 탄소포인트 산업 등으로 연계 추진할 예정이다.
또 시는 디지털 산업 생태계의 전문 인력을 키울 수 있는 ‘블록체인 칼리지’를 구상하고 있다. 이는 종전 대학의 블록체인 관련 기술인 ‘대체불가능한 코인(NFT)’, 메타버스 등 다양한 기술을 연계하는 형태이다. 또 벤처기업 간의 네트워킹을 위한 ‘오픈 이노베이션’도 그리고 있다.
시는 이 밖에 디지털산업진흥청과 디지털자산거래소를 인천에 유치하고, 블록체인 기술을 공유하는 컨퍼런스도 열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블록체인 관련 인력 양성에 집중하고 관련 기관 등을 유치, 인천이 블록체인 선도 도시로 우뚝설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김지혜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