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제의 선수] 장애인체전 볼링 男 TPB4 2인조전 우승 오반석

개인전 은메달 아쉬움 딛고 정광준과 호흡 맞춰 금메달 합작
과잉장애행동, 볼링으로 극복…2018 아시안패러게임 2관왕

제42회 전국장애인체전 볼링 남자 TPB4(지적장애) 2인조전 금메달리스트 오반석. 김영웅기자

“코로나19로 대회가 취소되고 훈련장마저 열지 않아 힘겨운 나날을 보냈습니다.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최선을 다한 노력을 보상받은 것 같아 뿌듯합니다. 이제는 다가오는 아시안패러게임과 패럴림픽 등에서 태극기를 휘날리고 싶습니다.”

제42회 전국장애인체전 볼링 남자 TPB4(지적장애)에서 전날 개인전 은메달에 이어 정광준과 팀을 이뤄 출전한 2인조전에서 우승한 오반석(28·안양시장애인체육회)은 금메달 획득에 만족하지 않고 더 큰 꿈을 위해 나아가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과잉행동장애(ADHD) 치료 목적으로 볼링을 시작한 오반석은 중학교 3학년 때 안양 범계중 은경수 코치의 제안으로 본격적인 선수의 길을 걸었다. 이후 동안고에 진학한 뒤 비장애인 선수들과 함께 훈련을 하며 여러 전국대회에 출전했으나, 메달과 인연이 없었다. 그러나 2015년 인도 해외봉사를 다녀온 뒤 장애인 선수로 등록을 했고, 본격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이후 2년 뒤인 2017년 부터 협회장배, 서울시장배, 대구광역시장배 등 전국대회서 우승과 준우승을 하며 이름을 알렸고, 2018년에는 장애인 국가대표로 선발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아시안 패러게임에서 2관왕에 올랐다.

부친 오창원씨는 “(오)반석이가 과잉행동장애가 심했다. 약을 먹기도 하고 놀이치료, 미술치료 등 온갖 방법을 찾아봤지만 효과가 없었다. 가족들도 스트레스를 많이 받아 사이가 악화되기도 했었다”며 “병원에서는 뇌파 이상으로 오는 과잉행동장애라고 했다. 볼링과 교회를 다니며 점차 증세가 나아졌고, 지금은 우리 가정의 가장 큰 자랑이다”라고 말했다.

승승장구하던 오반석에게도 위기가 있었다. 안양시에서 사용료 지원을 받으며 이용하던 호계체육관 볼링장이 코로나19로 장기간 문을 닫으면서 훈련을 할 장소가 없었고, 이로인해 경기력이 떨어졌다. 지도자 없이 홀로 볼링을 쳐온 그로서는 더욱 치명적이었다.

오창원씨는 “코로나19로 장애인 볼링대회가 3년간 거의 없었다”며 “훈련장도 방역을 이유로 문을 닫아 힘들었다. 수원, 용인 등 인근 지역을 돌며 밤늦게 동호인들과 함께 경기를 하고 버텨왔다”고 전했다.

한편, 오반석은 20일 혼성 4인조 TPB4에서 대회 2관왕에 도전한다.

오반석은 “개인전에서 마지막에 실수를 해 9핀 차로 은메달에 그쳐 목표한 3관왕에는 오를 수 없게 됐다. 하지만 4인조전에서 금메달로 마무리하고 싶다”며 “지금에 만족하지 않고 내년 예정된 항저우 아시안패러게임 등 국제무대에서 계속해 메달을 따고 싶다.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영웅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