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경찰은 지자체에 경찰권을 주어 지역 실정과 주민 요구에 맞는 치안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출범 2년째인 인천자치경찰위원회는 지역의 치안 현안에 초점을 맞춰 그해 역점사업을 제시한다. 올해 인천자치경찰의 목표는 ‘함께 만드는 여성안심 도시 인천’이다. 지난해 출범과 함께 추진했던 사업은 ‘어린이가 안전한 인천’이었다. 둘 다 최근 들어 사회 문제화하고 있는 치안 취약계층의 보호라는 차원에서는 고무적이다.
최근 인천지역에서는 가정폭력 등 여성 대상 범죄에 대한 신고 건수가 꾸준히 늘고 있는 추세다. 이에 인천자치경찰위원회는 올해 8개 정책과제의 여성안전 종합 치안대책을 추진 중이다. 먼저 여성이 불안을 느낄 수 있는 환경들을 정비해 범죄 발생 가능성을 사전 예방하는 범죄 취약 환경개선에 나섰다. 지역 내 여성 1인 가구 밀집지역을 보호하기 위해 여성안심귀갓길 93곳과 안심구역 30곳을 지정·관리했다. 불법촬영에 대한 두려움으로 공중화장실 사용을 주저하는 여성들을 위해서는 안심스크린을 설치하고 있다. 현재 406곳의 공원 내 화장실 중 70%는 설치를 마쳤다. 교육청 등 유관기관들로 구성된 공중화장실 통합점검단도 운영한다.
가정폭력으로 인한 여성과 아동의 피해가 늘고 있는 것도 과제다. 가정폭력은 재발 가능성이 높은 만큼 위원회는 가해자를 순화시키기 위한 교정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개별상담, 부부상담, 가족상담, 집단상담과 건강상담인 알코올 상담부터 심리·우울증 척도검사까지 포함한다. 올들어 가정폭력 가해자 관련 236건의 교정 활동을 추진했다. 가정폭력과 아동학대 사건, 그리고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한 사건 중 심각성과 재발 위험성이 큰 경우 통합솔루션팀을 운영한다. 의료기관, 법률전문가까지 참여해 상담·법률·의료·재정 등 종합적으로 피해자를 지원한다. 현재까지 100명에게 치료지원·가해자 교정·상담 등을 지원했다.
위원회는 지난해 ‘어린이가 안전한 도시 인천’ 정책이 일정 부분 성과를 냈다고 자부한다. 어린이 교통사고가 48% 줄고 아동학대 112 신고도 14% 감소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통계와 시민이 느끼는 체감 치안은 거리가 있어 보인다. 엊그제만 해도 인천에서 헤어진 여자친구에게 나체 사진 등으로 협박하며 스토킹한 피의자가 체포됐다. 자치경찰의 범주가 아니라 할 수 있지만 시민들은 여전히 불안하다. ‘여성안심 도시 인천’은 목표 설정이나 활동 실적 누계로 달성되지 않는다. 중요한 것은 인천시민들이 “이제 마음이 놓인다”고 할 만한 실질적 성과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