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월부터 8월까지 산업부 전담기관(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의 전국 연구개발(R&D) 예산은 총 4조4천484억원으로, 가장 많은 예산을 지원하는 지역은 경기도 1조1천126억원(25.01%), 서울시 6천895억원(15.5%), 대전시 4천694억원(10.55%) 순으로 나타났다. 인천의 경우 1천321억원(2.97%)으로 17개 시도 중 11위다. 물론 해당 예산은 산업부 기관 예산으로 전체 부처의 예산을 합하면, 인천의 순위나 지원액은 달라질 수 있을것이다.
하지만 지역의 산업 기반이나 인구수 등을 고려할 때는 대전, 부산, 대구 보다는 낮은 수치로 인천의 미래발전을 위해서는 과학과 기술을 중심으로 한 연구개발의 기획 및 집행을 담당할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
현재 인천테크노파크에서 지역 과학기술정책의 기획·발굴 등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나, 해당 부서의 경우 R&D 현황 조사, 지방과학기술 계획 수립 등 타 사업을 함께 수행하고 있어 집중화된 과제 기획과 지원을 수행하기에는 역부족인 상황이다.
미국의 경우는 ‘도시과학기술이니셔티브(Urban S&T Initiative)’를 조직해 도시의 미래발전을 위한 과학, 기술 기반의 프로젝트 및 금전적 지원에 대한 연계·조정 역할을 하고 있다.
일본, 싱가포르 등의 경우에도 중앙정부 차원에서의 대응뿐만 아니라 도시 단위의 전문조직(싱크탱크 조직)을 운영하며 미래전략을 모색하는 도시들이 존재한다. 이는 도시 자체적으로 전략 및 계획 수립 등 총괄적인 기획 및 종합 조정 차원의 컨트롤타워(전략·정책연구소)를 두고, 중장기적으로 지속적인 도시 성장을 모색하는 형태다. 국내의 경우 서울에서는 서울기술연구원, 경기도는 경기과학기술진흥원, 부산시는 부산과학기술기획평가원을 각각 두고 지역의 R&D 정책 및 지역산업의 고도화를 위한 지원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앞선 통계의 결과에서 보듯이 각 중간 지원기관을 두고 있는 지자체의 경우 R&D 육성과 지원으로 많은 예산을 확보하고 있다.
이에 인천의 과학 기술 컨트롤 타워역할을 할 (가칭)인천 과학기술 연구원 설립을 제안한다. 해당 기관은 인천의 미래 먹거리를 책임질 성장동력의 발굴과 점점 심화되는 다양한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 기술 중심의 연구 컨트롤 기능과 R&D의 생태계를 구축하고 지원하기 위한 R&D 조정 기능 등을 부여하고, 단기적으로는 기존 인천테크노파크의 해당 조직을 확대 분리하고, 중장기적으로는 기능의 확대를 위한 지원과 별도 운영 체계를 확보해야 지속적인 연구개발의 기반이 마련될 것이다.
문명국 청운대 경영학과 교수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