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제조업체, 3高(고물가, 고금리, 고환율)로 자금조달 리스크 높아

인천 지역 제조업체들의 자금 상황이 3高(고물가·고금리·고환율) 현상으로 인해 악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인천상공회의소가 발표한 ‘2022년 인천지역 제조업체 자금 사정 조사’에 따르면 지역 내 제조업체 137곳 중 115곳(85.4%)이 현재의 자금 상황을 ‘보통’ 혹은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현재 자금 사정을 부정적으로 표현한 기업들의 36.2%는 ‘매출 부진에 따른 현금 흐름 제한’이 가장 큰 이유로 응답했다. 이어 생산비용 상승으로 유보자금 부족이 30.2%, 대출금 상황 및 이자부담 증가가 25%, 대출금 연체 및 신용등급 하락 2.6%, 보유자산 대비 대출한도 초과가 2.6%로 나타났다.

또 응답 기업 중 65곳(48.1%)는 자금 운용에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한 대출금리 상승이 가장 큰 리스크 요인으로 판단했다.

이 때문에 응답 기업의 47곳(35%)은 은행이나 증권사 차입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고 있다고 답변했고, 이어 내부 유보자금이 43곳(32.2%), 정부 지원금이 24곳(18.1%), 사금융 차입이 8곳(5.9%) 등을 차지했다.

특히 응답 기업들의 63곳(46.1%)이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해 은행·증권사 차입이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해 크게 늘어난 자금 조달 방법으로 꼽았다.

이 밖에도 응답기업 137곳 중 73곳(53.7%)이 임대료와 인건비 등 고정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자금을 조달해야 한다고 답변했다. 이어 설비투자와 사업확장에 37곳(27.4%), 채무상환 13곳(9.6%), 자산 투자 1곳(0.7%), 원자재 구매 등 기타의견에 10곳(8.9%)으로 나타났다.

인천상의 관계자는 “3고(高) 현상이 글로벌 공급망 위기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요인으로 한동안 계속 할 것”이라며 “불확실한 경영환경으로 기업이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상황이라면 정부의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고, 자금 지원 확대 및 대출 만기 연장·상환 유예 등의 실질적인 금융지원도 병행해야 한다”고 했다.

김지혜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