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평택에 있는 제빵공장에서 20대 노동자가 끼임 사고로 숨진 가운데, 경기도가 도내 산재 사망사고를 예방하고자 ‘VR(가상현실)’을 활용한 청소년 산업 안전 교육 카드를 꺼내들었다.
25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이 같은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의 하나로 ‘(가칭)사회 첫발 예비 노동자 VR 연계 산업 안전 교육’ 시범 사업을 올해 안에 시행할 계획이다.
이는 사회생활을 앞둔 청소년들이 가상현실을 통해 재해 상황을 겪어보고, 이에 따른 대피 요령 등을 사전에 학습할 수 있도록 돕는 게 핵심이다.
이를 위해 도교육청과 맞손을 잡은 도는 도내 직업계 고등학교 109곳을 대상으로 시범 사업에 나선다. 26일부터 해당 학교에 협조 공문도 보낼 예정이다.
도가 산재 사망사고를 막고자 선제적으로 나서는 이유는 사망자 수가 꾸준히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 6월 기준 산재로 인한 도내 사망자는 129명이다. 이는 전국 사망자 수의 27% 수준으로 전국 17개 시·도 중 가장 많은 수치기도 하다. 지난해와 2020년에도 각각 221명과 235명으로 가장 많았다.
상황이 이렇자 전문가들은 지자체가 보다 적극적으로 산재 안전 교육을 펼쳐야 한다고 목청을 높인다. 아울러 중앙정부와의 근로감독권 공유, 전담 인력 일원화 등 촘촘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조언했다.
노동건강연대 소속 김유정 공인노무사는 “산재는 결국 ‘현장’이다. 현장과 유사한 재해에 대비한 교육이 중요하다는 뜻인데, 그런 의미에서 VR을 활용한 예방 교육의 효과는 기대할만할 것”이라며 “다만 도내 산업재해 비율이 타 시도에 비해 월등히 높은 만큼 도내 전담 인력을 확충하는 등의 노력도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이번 사업이 원활히 진행된다면 학생뿐만 아니라 고용주와 근로자들에게도 해당 교육의 지원을 확대할 예정”이라며 “앞으로도 도는 급변하는 노동 환경에 발맞춰 첨단기술을 활용한 대응 방안 등을 적극적으로 도입할 것”이라고 말했다.
손사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