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지사 “내년 예산은 민생재정”… 서민도정 박차

자체 예산 ‘노인 일자리’ 1만개 이상 늘리고
‘국공립 어린이집’ 사업”도 차질없이 진행

윤석열 대통령의 ‘건전재정’ 정책에 우려를 표한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내년도 경기도 예산은 ‘민생재정’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27일 김 지사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경기도가 먼저 민생재정을 실천하겠습니다’는 제목의 글을 올려 “어제 도정열린회의에서는 ‘민생재정’이 내년 경기도 예산에도 적용되는 원칙임을 밝혔다”며 “그 원칙을 실천하는 대표적인 사례가 ‘노인 일자리’와 ‘국공립 어린이집’ 사업”이라고 말했다.

이어 “노인 일자리 사업의 경우 중앙정부에서 약 4천개를 줄이고, 특히 공익형 노인 일자리 비중도 줄였다”며 “그러나 경기도는 자체 예산으로 노인 일자리를 만개 이상 늘리겠다”고 목청을 높였다.

그러면서 그는 “중앙정부에서 예산을 20% 가까이 줄인 국공립 어린이집 사업도 경기도는 예산을 늘려 진행할 계획”이라며 “2026년까지 공공보육 이용률 50%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달성하겠다”고 덧붙였다.

앞서 김 지사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또 다른 글에서 “내년에는 경기가 더 어려워질 것이고 추경 편성이 불가피한데 지금 제대로 돈을 써야 추경 소요도 줄어든다”면서 “지역사랑상품권, 공공임대주택, 노인일자리 예산 등을 중앙정부가 원상회복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처럼 ‘민생재정’을 실현하고자 하는 김 지사의 의지로 도는 지역화폐 발행예산 등의 내용이 담긴 2022년 2차 추가경정예산안을 편성해 지난달 도의회에 제출한 바 있다.

이밖에 26일 열린 도정열린회의에서 김 지사는 관련 부서에 사회초년생을 위한 산업안전대책 마련을 촉구하기도 했다.

김 지사는 도가 도교육청과 협업해 ‘사회 첫발 예비노동자 산업안전 교육’ 등을 검토(경기일보 26일자 1면)하는 것과 관련, “경기도가 전체 인구의 26%나 차지하다 보니 재난 사고나 산재 사고도 가장 높은 비율로 발생하고 있다”며 “위험 요인을 미리 찾아내 집중 관리하고 선제적으로 예방 활동을 해달라”고 전했다.

손사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