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시 대형사업 수개월째 멈춤…우선협상대상자 반발

구리 한강변 도시개발 사업 부지 조감도

구리시가 추진한 대형 공익성 사업들이 수개월째 제자리에 머물면서 관련 업계마다 내홍을 앓고 있다.

중단이 장기화되면서 금융위기 현상까지 겹쳐 사업 추진이 어려워질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30일 구리시와 대형사업을 주관 중인 A·B사 등에 따르면 시는 총사업비 1천억원대 규모의 ‘구리·남양주 에코커뮤니티 건립 민간투자사업’이 민선 8기가 출범한 후 전면 재검토 등의 명목으로 돌연 중단되면서 한 발짝도 나아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사업은 2026년부터 생활폐기물의 김포매립장 전면 반입 금지로 시급성 등을 감안해 전임 시장 때 남양주시와 어려운 협의 과정 등을 거쳐 사업을 정상 궤도에 올려 놓은 바 있다.

시는 이에 시의회 등의 관련 절차 이행 등을 통해 한국환경공단 등과 함께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절차에 들어갔지만 8월 업체 참여 마감일을 불과 며칠 앞두고 중단을 결정한 상태다.

최초 민자사업을 제안했던 A사는 컨소시엄을 구성한 뒤 단독으로 응모해 사실상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을 앞두고 있었다.

시는 7월 민선 8기 출범 후 전임 시장이 추진해 온 총 4조원 규모의 ‘한강변 도시개발사업’에 대해 전면 재검토 방침을 천명했다. 백경현 시장은 최근 모 매체를 통해 해당 사업과 관련, 사실상 원점 재검토 방침을 시사하면서 감사 등의 방법을 통해 사업추진 적정성 등을 살핀 것으로 파악됐다. 우선협상대상자인 KDB산업은행 컨소시엄 측에 공공 지분을 늘려 달라고 요구하고 수용되지 않을 경우 우선협상대상자 취소 공고를 낼 수도 있다는 뜻을 내비쳤다.

하지만 산은 컨소시엄은 우선협상자 지위를 박탈당하면 법적 대응에 나설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사업은 한강변 150만㎡에 스마트도시를 건설하는 프로젝트로 산은을 비롯해 15개 기업으로 구성된 컨소시엄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상태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국내 건설·금융업계 사정 등을 감안할 때 하루빨리 추진돼야 한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시의 공식적 입장이 아니어서 현재 진위를 확인 중”이라고 밝혔다.

구리=김동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