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필여 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 이사장은 “마약이 10대 청소년에게까지 퍼질 정도로 사회적 피해가 심각한 수준”이라며 “이를 해결해야 할 교육과 예방 등에 투입되는 예산은 턱없이 부족해 마약 확산세를 막기에는 역부족”이라고 토로했다.
김 이사장은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마약 확산 문제가 매우 심각한 수준이라고 진단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경희대 약대를 졸업하고 7·8대 안양시의원, 안양시약사회장, 경기도약사회 부회장, 대한약사회 대외협력본부장 등을 지냈고, 지난달 14일 마약퇴치운동본부 제12대 이사장으로 취임했다.
김 이사장은 대한민국이 더는 마약 청정국가가 아닌, ‘일상 속 범죄’가 돼 간다고 강조했다. 국민들은 일부 연예인과 부유층, 클럽 등에서 발생하는 사례를 접하는데 실제 학생, 회사원, 주부까지 마약범죄가 늘고 있다는 것이다. 또 최근에는 10대 청소년까지 마약에 손대는 사례가 늘고 있다고 한다. 그는 “청소년들이 병원에서 마약류 진통제를 처방받아 투약은 물론이고 판매까지 하는 사건이 늘고 있다”며 “최근 마약이 연령층에 상관없이 빠르게 퍼지고 있다”고 했다.
김 이사장은 마약 확산을 막기 위해 24시간 상시 상담 체계를 구축하면 마약범죄 발생을 줄일 수 있다고 말한다. 특히 청소년들의 마약범죄 예방을 위해 초등학교부터 마약 예방 교육이 필요하지만 관련 예산이 부족해 이를 운영하기에는 큰 어려움이 있다고 지적한다. 김 이사장은 “상담은 주로 평일 일과시간에만 진행된다. 마약범죄는 주로 심야 시간에 이뤄지는데, 이에 대응하기는 어렵다”며 “24시간 상담 체계를 구축하면 초범 발생은 물론이고 재범까지 어느 정도 막을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했다. 이어 “청소년들에게 가장 중요한 건 예방교육 확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부터 교육을 통해 문제 의식을 심어줘야 한다”며 “이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관심을 가지고 관련 예산을 투입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 이사장은 마약범죄에 대한 인식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그는 “마약 단순 투약자도 편견 때문에 다시 사회에 나올 수 없는 상황”이라며 “이들을 사회 일원으로 복귀할 수 있게 기회를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박용규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