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핼러윈 대참사를 계기로 ‘안전예방 핫라인’을 개설하고 ‘도민안전 혁신단’을 만드는 등 안전 대책을 마련한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10일 기자회견을 열어 이 같은 내용의 안전관리체계 개선 방안을 발표했다.
먼저 도는 지난 1999년부터 시행한 ‘도민 안전점검 청구제’를 확대 개편해 ‘안전예방 핫라인(010-3990-7722)’을 만들기로 했다. 도민은 일터, 사회재난, 시설물 등 각종 안전 문제에 대해 도움을 요청하면 도는 안전사각지대를 개선한다.
김 지사는 “수원 세모녀 사건 이후 ‘긴급복지 핫라인’(010-4419-7722번)을 만들어 복지 사각지대 발굴에 성과를 거둔 바 있다. 뒷번호 7722번은 ‘경기도 핫라인’의 상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도는 15명 이내의 안전 분야 전문가와 사회재난 피해 당사자 등으로 ‘도민안전혁신단’을 구성한다. 이들은 공공 안전관리에 대한 평가·분석을 하고, 도민 제안에 대한 실질적인 피드백을 하는 동시에 안전사고 발생 시 전문가의 현장 출동과 조치사항 등을 자문하는 역할을 맡는다.
이와 함께 도는 사회재난 대처에 대한 경험과 노하우가 부족한 현실을 고려해 ‘사회재난 합동훈련’도 실시하기로 했다. 매뉴얼만 있는 안전시스템이 아니라 실제로 작동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기 위해서다. 도는 다중밀집지역에서 도와 소방본부, 경찰, 학교, 민간이 함께하는 합동훈련을 정기적으로 시행할 계획이다.
특히 도는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센서, 빅데이터, 드론, 스마트글라스 등 정보통신기술(ICT)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관리’도 강화할 예정이다.
아울러 김 지사는 대통령 직속의 ‘국민안전자문회의’ 설치를 중앙정부에 제안하기도 했다.
김 지사는 “국민안전은 국가정책의 최우선 순위”라며 “대통령 직속 자문기관은 국민경제, 과학기술, 평화통일 등 세 분야인데 국민안전도 이 정도 수준으로 끌어올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안전대책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부분에 예비비를 투자할 계획”이라며 “이번 대책에 그치지 않고 도민 안전을 위해 지속적으로 혁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김보람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