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내 자동심장충격기(AED) 관리가 부실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지난 10월29일 서울 이태원 압사 참사 이후 그 어느 때보다 안전 점검의 중요성이 커져 있어, 집행부의 대책 마련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17일 인천시의회에 따르면 문화복지위원회 소속 이강구 시의원(국민의힘·연수5)은 최근 인천시 건강보건국을 대상으로 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인천지역 내 자동심장충격기가 곳곳에 설치돼 있으나 정작 위급 상황 시 즉각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그는 “공공기관의 경우 오후 6시 이후 문을 닫기 때문에 저녁 시간에는 일반인의 접근이 어려워 24시간 개방한 곳에 비치해야 한다”고 했다.
특히 이 시의원은 “1년에 1번 하는 자동심장충격기 관리 점검도 부족한 상황”이라며 “장치의 배터리나 패드의 사용 기간이 경과하거나 훼손, 현재 사용 불능 상태인 경우가 많다”고 했다. 앞서 시가 지난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지역 내 자동심장충격기 3천289개를 점검한 결과, 소모품의 유효기간이 지난 장비가 111개(3.3%)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시의원은 많은 인파가 몰리는 대형 축제장의 자동심장충격기 설치가 시급하다고 보고 있다. 그는 “대형 축제장이 자동심장충격기 의무 설치 장소에서 빠져있다”며 “행사 전에 사전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조치가 필요하다”고 했다. 이어 “해마다 자동심장충격기 설치예산이 줄어들고 있는 상황에서 시의 적극적인 예산 지원이 필요하다”고 요청했다.
이 시의원은 “시를 비롯한 공공기관 모두가 ‘안전은 좀 과하다 싶을 정도로 사전 조치가 필요하다’는 인식을 가져야 한다”고 했다.
이민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