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로고
[김종구 칼럼] ‘내 동네 GTX 신설’ 막은 도의원, 누군가
오피니언 김종구 칼럼

[김종구 칼럼] ‘내 동네 GTX 신설’ 막은 도의원, 누군가

경기도 전역을 1시간圈 시대로
도민 기대 용역비, 의회서 삭감
정치 거래 삼을 일이 따로 있지

교통이 빈부를 가르고 있다. 같은 30평형 아파트라고 치자. 광교신도시는 20억대 부자다. 다른 지역은 5억대 서민이다. 똑같은 크기인데 이렇게 갈린다. 물, 전기, 공원은 다 같다. 이유는 하나다. 교통 편의가 어떻냐의 차이다. 서울 가는 시간이 핵심이다. 30분이면 부자, 60분이면 서민, 90분이며 더 서민이다. 그 서민들이 애원한다. 서울 가는 길 좀 뚫어 달라고 소원한다. 그 한을 풀 수 있는 한 방이 있다. GTX다. 그 소원을 GTX플러스가 담았다.

경기도가 당차게 꾸려 본 구상이다. GTX A·B·C 노선을 늘리는 안이 하나다. D·E·F 노선을 만드는 안이 다른 하나다. 계획이 실현되면 전 지역이 1시간권이다. 경기도는 이걸 ‘도민에게 돌려드릴 1시간’이라 했다. ‘3억 아파트’ 서민들이 반긴다. 20억은 못 되더라도 반의 반은 갈 것 아닌가. ‘집 투기’하자고 이러겠나. ‘교통 빈부’라도 없애 달라는 요구다. GTX 플러스에 한껏 들떴다. 화성·오산·평택·가평·안산·시흥·구리·포천·광주·이천·여주.... 전부다.

쉽지 않고 오래 갈 일이다. 도비로 턱 없다. 대충 뽑아도 18조4천억여원이다. 경기도정만으로도 어렵다. 정부가 결심해야 할 수 있다. 그렇다고 마냥 기다려도 안 된다. GTX 시작은 민선 4기 경기도였다. 그때부터 시행까지 십수년 걸렸다. 지금도 달라진 건 없다. A·B·C 늘리라고 1천억, 2천억 내주겠나. D·E·F 신설하라고 6조, 7조 세워 주겠나. 경기도가 시작할 일이다. 그때도 그랬다. 이한준(특보)이 그린 그림, 김문수(지사)가 들고 뛰어다녔다.

그만큼 시작이 중요하다. 경기도가 시동을 걸었다. ‘GTX 플러스 국회 토론회’로 선포식을 했다. 일개 지자체가 개최한 행사였다. 여기에 쏟아진 관심이 놀랍다. 공동 주최에 이름을 올린 국회의원만 64명이다. 김동연 지사의 소속 정당 따윈 문제가 아니었다. 55명의 민주당 의원 외 국민의힘·정의당까지 찾아왔다. 광역도 뛰어넘었다. 인천 의원·서울 의원에 강원도 의원까지 경청했다. 국회의장, 환노위원장, 농축위원장도 왔다. GTX가 그런 것이다.

대한민국의 절반이 지지자다. 그날 전문가들이 결론을 내렸다. “경기도가 능동적으로 나서야 한다...관련 시·군이 공동 대응할 수 있게 통합관리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박경철 박사·경기연구원). “전문가와 지자체, 시민 모두의 컨센서스를 이뤄내는 협치가 GTX 성공의 열쇠다.”(유정훈 박사·아주대). 이 모든 뜻을 담은 행정이 시작됐다. 도 추경안에 세워진 12억원이다. GTX 플러스 관련 용역비다. 정부에 낼 경기도의 청사진을 만들 돈이다.

그런데 이게 잘렸단다. 경기도의회 계수조정에서 없앤단다. 의결된 추경액만 35조6천778억원이다. 경기도를 꾸려갈 거대 예산이다. 여기서 12억원이 사라졌다. 오늘자 언론 보도다. ‘김동연 지사 역점 사업 제동’ ‘김 지사 길들이기’. 맞다. 35조6천778억원을 통과시켰다. 불요불급한 예산이 또 없겠나. 그런데 다 통과시켰다. 심지어 도가 올린 적 없는 70억원도 들어갔다. 아마 도의회가 필요해 얹은 거 같다. 그러면서 이 12억원을 뽑아냈다.

‘국토부 용역과 중복된다’고 했다던데. 기본 취지가 다르다. 경기도민만의 소원을 담는 용역이 필요하다. 동쪽에서 서쪽, 남쪽에서 북쪽을 가는 그림이어야 한다. 국토부가 담아줄 리 없다. 국가 빚이 1천조라면서 앓는 소리 할 게 뻔하다. 지긋지긋한 국가 균형 발전도 얘기할 것이다. 경기도 GTX만 늘려 주기 곤란하다 할 것이다. ‘삼남 지방’의 방해도 있을 것이다. 이때 국토부를 압박할 우리만의 그림이 필요하다. 그 근거를 만들려던 돈이다.

경기도 전역에 GTX를 놓자는 일이다. 도대체 어디 도의원들인가. 경기도민이 궁금해하기 시작했다. GTX를 반대하는 도의원, 용역 시작을 훼방 놓는 도의원... 그들의 지역구는 어디고, 그들의 이름은 뭔지 묻기 시작했다. 내 집 앞에 들어온다는 GTX를 막은 이들이다. 어느 지역 누구냐고 따질 권리가 있다. 회의록·기억 어딘가엔 있을 거다. 공개해야 한다. 이태원 명단 공개는 정치였지만 GTX 훼방 의원 명단 공개는 생존이다.

김동연 GTX면 어떻고, 김은혜 GTX면 어떤가. 어차피 GTX 소원은 하나다. ‘더 빨리, 더 많이 깔아 달라.’

主筆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