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의 ‘기술 기반 창업 기업(스타트업)’들이 덩치가 커지는데도 정작 사무실 공간의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다. 이 때문에 유망 스타트업들은 서울이나 경기도 성남시 판교테크노밸리(TV) 등으로 떠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21일 인천시와 인천경제자유구역청 등에 따르면 지역 내 스타트업은 창업지원 프로그램으로 인해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인천의 기술기반 창업기업은 2019년 1만1천259곳, 2020년 1만1천377곳, 2021년 1만1천935곳으로 576곳으로 약 5% 이상이 늘어났다. 시가 지난 2019년 스타트업 조성 사업을 본격화하면서 창업지원프로그램과 펀드 조성 등을 추진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역 내 스타트업들이 입주할 공공형태의 사무실 공간이 부족하다. 초창기 1인 창업을 비롯한 10인 이하 기업을 위한 공간과 지원에 비해 20~30인 이상의 성장형 스타트업들을 위한 공간은 없는 탓이다.
현재 인천에는 연수구 송도국제도시의 인천스타트업파크와 미추홀타워에 있는 창조경제혁신센터와 각 대학의 창업보육센터 등 6곳이 있다. 창조경제혁신센터와 각 대학의 창업보육센터는 공간 대부분 1인 창업기획자를 위한 곳이거나, 2~3인용이 최대다. 그나마 넓은 공간이 많고 임대료 역시 1㎡당 약 3천원으로 저렴한 인천스타트업파크의 대부분은 4~8인의 사무실이고, 30인 이상 사무실은 6곳에 불과하다.
업계에서는 스타트업 기업 특성상 큰 규모의 투자유치를 받기 전까지는 임대료 등 고정수입을 최소화 해야 하기 때문에 공공형태의 업무 시설은 필수적이다.
특히 인천은 서울에 비해 접근성이 떨어지는 데다, 인력 풀이 넓지 않는 단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스타트업 기업들은 창업 이후 급 성장 단계인 ‘스케일 업’을 겪으면서 업무 공간 부족에 시달리며 서울이나 판교로의 이전을 선택하고 있다.
한 스타트업 대표 A씨(35)는 “인천은 스타트업이 입주할 공공형 업무 공간이 부족하다”며 “이젠 인천은 여러 지역적인 단점에 더이상 있어야 할 이유가 없다”고 했다. 이어 “창업 지원프로그램으로 성장했지만, 어쩔 수 없이 떠나야 하는 셈”이라며 “스타트업을 다 키워놓고, 놓치는 격”이라고 했다.
지역 안팎에서는 시와 인천경제청이 창업 단계에서 벗어난 성장형 스타트업이 지역에 안착할 수 있도록 지원해 ‘스타트업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 관계자는 “30인 이상 기업이 이주를 선택하는 것은 창업을 지원한 기관 입장에서 마음이 아프다”며 “지역이 키운 스타트업이 지역에서 자리 잡을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어 “성장형 스타트업 기업들이 자리를 잡아야, 창업과 성장, 투자유치까지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낼 수 있다”고 했다.
이에 대해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스타트업의 공간 부족 문제에 대해서 알고 있다”며 “내년에 인천스타트업파크를 일부 리모델링해 30인 이상 기업들의 공간을 확보하도록 하겠다”고 했다.
시 관계자는 “제물포 르네상스 사업 구역 내 스타트업들이 모이는 공간 등을 구상 중”이라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장기적인 관점에서 고민하겠다”고 했다.
김지혜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