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 인천신항에서 총파업 돌입, 인천 조합원 80% 참여…인천항 화물 반출입양, 60% 감소

image
24일 오전 화물연대 인천지역본부 총파업 출정식이 열린 인천 연수구 인천신항 선광신컨테이너터미널 앞에서 노조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장용준기자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이하 화물연대)의 총 파업에 인천지역 조합원의 80%가 동참했다. 이로 인해 인천항 화물 터미널의 화물 반출입양은 1일만에 60% 이상 줄어들고 있다.

화물연대 인천지역본부는 24일 오전 10시 인천신항 선광컨테이너터미널(SNCT) 인근에서 총파업 출정식을 했다. 이날 출정식에 700여명이 참여한 것을 비롯해 각 지역의 파업현장에서 500명, 유류운반차량 기사 200명 등 모두 1천400명이 이번 총파업에 동참했다. 이는 전체 조합원 1천800명의 80%에 달한다.

특히 이번 화물연대의 총파업에는 정유회사 조합원이 대거 참여했다. 지난 6월 파업엔 에쓰-오일㈜ 1곳만 참여했지만, 이번에는 에스케이에너지㈜, 지에스칼텍스㈜, 현대오일뱅크㈜ 등 3곳 조합원까지 동참했다. 에쓰-오일의 최반실씨(42)는 “일 특성상 파업에 참여하면 경쟁사에 고객을 뺏기고 수익도 없어 생계에 타격을 받을 것 같다”고 했다. 이어 “하지만 졸음운전을 하거나 위험 운전을 하면 다른 사람들에게 더 큰 피해를 준다”며 “빨리 정부에서 안전운임제에 대한 협상을 마무리하길 바란다”고 했다.

반면 인천신항 인근에서는 ‘국토교통부 비상수송차량 현수막’을 단 화물 차량들이 오갔지만, 물리적 충돌 등은 발생하지 않았다.

image
24일 오전 화물연대 인천지역본부 총파업 출정식이 열린 인천 연수구 인천신항 선광신컨테이너터미널 앞에서 구호를 외치는 노조원들 뒷쪽으로 파업차량들이 줄지어 서 있다. 장용준기자

화물연대 관계자는 “이날 SNCT 파업에 참여하지 않는 비조합원 수백명 등도 사업소 곳곳에 화물차량를 멈춰세우고, 뜻을 함께 하기로 했다”고 했다. 이어 “1일차인 오늘은 우리의 의지를 표명하는데 그치겠지만 정부의 입장에 따라 강경하게 대응하는 것도 각오하고 있다”고 했다.

이와 함께 인천항 인근 삼표시멘트 인천사업소 인근 도로에도 화물연대 소속 벌크시멘트트레일러(BCT), 화물트럭 등 100여대가 멈춰서며 총파업에 동참했다. 한 조합원은 “시멘트 공장에서 나간 시멘트가 2~3일이면 다 소진될 것”이라며 “파업 여파로 더 이상 시멘트를 운반하지 않으면 원활한 추가 공급이 어려워 피해가 더욱 커질 수 있다”고 했다. 이어 “내일부터는 장거리를 다녀온 조합원까지 참여하면 멈춰있는 차량을 더 많아질 것”이라고 했다.

이날부터 시작한 화물연대의 무기한 총파업 여파로 인천지역의 물류 대란이 불가피 할 전망이다.

인천지방해양수산청에 따르면 이날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집계한 인천항의 컨테이너 반출입량은 4천200TEU로 지난 23일 같은 시간 1만931TEU보다 61.6% 감소했다.

또 인천항 컨테이너 터미널 장치장의 포화 정도를 의미하는 장치율도 이날 오전 10시 73.3%에서 오후 4시 75.7%로 2.4%포인트 증가했다. 이날 오전 집계 때는 화물 반출입량 등이 평상시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으나 오후 들어 파업이 본격화하면서 화물 운송이 차질을 빚고 있다.

인천 항만업계 등은 이번 총파업으로 인한 피해가 상당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정부가 강경 대응에 나서 파업이 더욱 강대강 대치로 이어져 장기화 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앞서 업계는 지난 6월 8일간의 파업에서 인천 컨테이너부두 및 운송·물류업체의 직접적 피해액을 4억원으로 집계했다.

이와 관련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화물연대의 요구 조건인 안전운임제의 3년 연장에 대해선 이미 수용의사를 밝혔다. 국회의 입법 문제를 이렇게 거리로 나와 싸워선 안된다”며 “운송거부 및 방해는 강력 대처할 것”이라고 했다.

한편, 안전운임제는 화물차 기사가 과로·과속·과적 운행을 할 필요가 없게끔 최소한의 운송료를 보장하고 이를 어기는 화주에게 과태료를 매기는 제도다. 2020년 시멘트와 컨테이너 화물에만 일몰제로 한시 도입해 올해 말에 끝난다. 안전운임제 일몰이 다가오자 화물연대는 지난 6월 일몰 폐지(영구화)를 내걸어 파업에 돌입했다. 당시 안전운임제를 지속 추진하고 적용 품목 확대를 논의하는 조건으로 8일 만에 파업을 풀었는데, 정부가 약속을 저버렸다고 주장한다.

이에 화물연대는 안전운임제 영구화, 적용 차종과 품목 종전 컨테이너·시멘트 외 철강재·자동차·위험물·사료·곡물, 택배 지·간선 등 5개 품목 확대, 안전운임제 개악안을 폐기 등을 요구하고 있다.

이승훈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