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 홍보 예산이 전국 최저 수준인 탓에 도민의 ‘알권리’가 침해되고 있다는 날카로운 지적이 나왔다.
27일 경기도의회에 따르면 지난 25일 의회운영위원회는 경기도 대변인과 홍보기획관, 소통협치국과 의회사무처 등에 대한 2023년도 예산안 심의에 나섰다.
이날 의회운영위 소속 황대호 의원(더불어민주당·수원3)은 도의 홍보 예산이 다른 광역자치단체에 비해 낮은 수준이라고 꼬집으면서 적극적인 증액을 도에 요구해 주목을 받았다.
황 의원은 “올해 도와 도의회는 일일뉴스와 기획영상 제작 등 홍보 활동을 열심히 했다. 하지만 정작 2022년도 전국 17개 시·도별 홍보 예산 현황을 살펴보면 관련 예산이 273억(경상경비 포함)으로 편성돼 있다”며 “세종시가 인구 1인당 홍보 예산 순위가 1위, 서울시가 10위인 것과 달리, 도는 17개 시·도 중에서 인구 1인당 홍보 예산이 겨우 16위로 사실상 꼴등 수준”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특히 해외 언론 홍보 예산을 보면 도는 총 8억원(대변인실 2억, 홍보기획관 6억 등)으로 서울 및 강원도와 비교했을 때 절반 이하 수준에 불과하다. 이를 주민 1인당 예산으로 환산했을 경우 15원으로 최저 수준”이라고 질타했다.
황 의원에 따르면 지난해 경기도청 전체 광고비는 249억원으로, 이 또한 일반회계의 0.10%, 인구 1인당 1천852원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의 인구수를 고려했을 때 서울과 인천의 중간 수준이다.
이날 본보와의 통화에서 황 의원은 “도민의 알권리를 위해 홍보 부서의 예산을 더욱더 증액하는 등 도민을 위해 조금 더 진취적인 모습을 보여야 한다. 이와 함께 영상과 기획 콘텐츠 분야에 있어 상시적인 협업 체계를 마련하고 방송 보도 분야에 있어서도 의정 뉴스 제작과 홍보 모니터를 통한 영상 송출 등에도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며 “아울러 도 대변인실과 도의회 언론홍보담당관 등이 홍보를 위한 협업 체계를 구축하는 등 활성화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 도민이 살기 좋은 도를 만들기 위한 협업이 필요할 때”라고 제언했다.
임태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