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어도, 겉으로의 모습에서 ‘제 식구 감싸기’는 없었다. 경기도 산하기관장 후보 인사 청문회에서 피부에 와 닿았다. 24일 개최된 청문회는 경기교통공사 사장 후보자,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 원장 후보자, 경기도일자리재단 대표 후보자 등 3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우리의 관심은 이들이 지방 정치인 출신이라는 점에 있었다. 도의원 출신이 후보자로 내정되면서 도민이 갖게 된 안 좋은 시선이 많다. 바로 이 부분이 청문회에서 상당 부분 추궁됐다.
건교위 청문회에 나선 경기교통공사 사장 민경선 후보는 경기도의원 출신이다. 유형진 의원(국민의힘·광주4)이 청문했다. “후보자는 과거 도의원을 지낸 바 있다. 도의원 경력으로 교통공사를 이끌 수 있는 전문성이 있는지 의문이 들 수밖에 없다.” 같은 당 허원 의원(이천2)도 비슷한 취지의 질문을 했다. “공공기관장을 정치적 발판으로 삼으려는 것 아니냐.” 민 후보자가 “(도의원 때) 실무형 전문가라는 칭찬을 받았다”고 설명하면서 넘어갔다.
기관장 자리를 지방의원 도전에 발판 삼으려는 가능성에 대한 추궁도 있었다. 경상원 원장 조신 후보자에 대한 청문이다. “(정당 생활을 해온 이력이) 경상원이 편향적으로 운영되지 않을까 우려된다”(이병길 의원·국민의힘·남양주7), “후보자는 최근까지 지방선거를 준비했다. (정치적 거취에 대한) 신변 정리를 정확히 해야 한다”(김태희 의원·더불어민주당·안산2). 조 후보자는 “누군가를 위해서가 아니라 소상공인을 위해 일하겠다”고 답했다.
국회의원 출신에 대해서도 검증은 날카로웠다. 경기도일자리재단 채이배 대표이사 후보자는 전 국회의원이다. 국민의당, 바른미래당, 민생당을 거쳐 현재 더불어민주당에 적을 두고 있다. 남경순 의원(국민의힘·수원1)은 “(소속) 정당이 있는 상태에선 도의회와 소통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며 “(정치적 편향 없이) 대표이사 업무를 잘 수행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렇게 보니 이날 청문 대상자가 다 도의원 출신 또는 정치인이었다.
앞서 우리는 경기도 산하기관장 후보에 경기도의원 또는 경기도 정치인 출신이 많음을 지적했었다. 연봉 1억원을 넘나드는 산하기관장 자리다. 도민의 일반적인 직업 분포 등을 따져 볼 때 도의원·도정치인의 비율이 비정상적으로 높다. 도의회 카르텔, 지방 정치 카르텔이라 보이지 않을 수 없다. ‘왜 나만 가지고 그러느냐’는 볼멘소리도 전해 오던데, 그렇게 볼 일이 아니다. 특정 후보를 지목하는 것이 아니다. 도민의 일반적 거부감을 전한 것이다.
24일 청문회가 이런 우려를 완전히 불식시켰다고 보긴 어렵다. 소속이 다른 상대 정파 후보자만 공격한 흐름이 잡힌다. 실제 청문 강도가 높지 않았다는 분석도 있다. 그럼에도 우리는 평가하려 한다. 현직 도의원이 전직 도의원, 예비 정치 후보군, 전직 국회의원에 공개적으로 견제했다. 농담과 덕담으로 끝내던 과거 ‘그들만의 청문’보다는 분명 나았다. 이 정도 수준의 청문과 답변만으로도 도민의 불신은 적잖이 해소될 것이다. 청문회가 또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