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수원서도 AI항원 검출…방역당국 비상

용인·화성에 이어 평택·이천 등지에서 발생한 조류인플루엔자(AI) 확산이 안성과 수원까지 번지면서 방역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29일 오전 7시께 안성시 일죽면 화곡리 한 농장 육용오리 폐사체에서 간이키트 검사 결과, 고병원성 AI로 의심되는 H5 항원(양성)이 검출됐다.

이날 H5 항원이 검출된 농장은 1만2천800수의 42주령 육용오리 출하를 앞둔 시점에서 2~3마리가 설사 증세를 보이면서 폐사한 것을 농장주(59)가 방역당국에 신고했다.

방역당국은 오후 5시를 기해 30여명의 인력을 동원해 농장 2곳이 사육 중인 육용오리 1만7천800마리에 대해 모두 예방적 살처분을 할 방침이다.

또 발생지역 외 가금류 농장에 H5 발생상황을 전파하고 자체 소독 강화 지도는 물론 방역차량을 활용한 하천과 도로변 등에 대해 집중소독을 강화키로 했다.

이와 함께 방문차량과 관련시설 역학 농가에 3주간 이동제한과 일제검사를 실시하는 등 전담관을 통한 각 농장별 전화예찰도 시행키로 했다.

수원특례시에서도 야생조류 폐사체에서 AI가 검출됐다.

시는 지난 22~23일 축만제(화서동)에서 큰기러기 1개체, 민물가마우지 1개체의 폐사체를 수거했고,국립야생동물 질병관리원에 AI 검사를 의뢰한 결과, ‘고병원성 AI’로 판정받았다.

폐사체를 수거한 경기도 축위생방역지원본부가 초동방역을 지원했고, 경기도는 검출지 반경 60m를, 시는 축만제 산책로 700여m를 통제했다.

시는 이상 행동을 하는 야생조류와 폐사체 예찰을 강화하고, 폐사체가 발생하면 즉시 수거해 검사를 의뢰할 예정이다. 예찰 지역은 주요 철새 도래지(축만제, 황구지천)를 포함한 하천·저수지 7개소다.

아울러 ‘AI 긴급행동지침’에 따라 가금농가 소독·예찰을 하고, 지속해서 방역 조치를 할 예정이다.

박석원·이정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