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작업시 부주의 탓... 해마다 4건씩 사고 발생 올해 현장점검 10% 안돼 “인력 부족… 예방나설 것”
인천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기업 등에서 인명 피해를 일으킨 화학사고가 끊이질 않고 있다. 지역 안팎에선 환경부의 인천지역 화학물질 취급 업체에 대한 현장 점검이 부실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5일 환경부와 인천시 등에 따르면 지난 9월13일 연수구 송도국제도시의 삼성바이오로직스 2공장에서 수산화칼륨 3t이 바닥에 쏟아지는 사고가 났다. 수산화칼륨은 독성을 가진 물질로 부식성이 매우 높다. 작업자가 바이오의약품 세척액 배관을 실수로 잘못 열어 세척제인 수산화칼륨의 누출이 발생한 것이다. 이 사고로 작업자 1명이 수산화칼륨이 튀어 화상 등을 입기도 했다.
앞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난 2018년 4월3일에도 시설 결함 등으로 인해 수산화칼륨이 누출, 수습 과정에서 근로자 1명이 부상을 입기도 했다.
또 지난 4월 서구 한국환경공단 환경기술연구소에서는 실험 도중 화학 용액 일부가 작업자 및 실험실의 환풍구에 튀면서 작업자 1명이 화상을 입는 사고가 나기도 했다.
인천에서는 지난 2014년부터 최근까지 모두 34건의 이 같은 화학사고가 발생했다. 해마다 4건씩 화학사고가 발생하는 셈이다.
시는 화학물질 취급 업체가 작업 시 부주의하거나 시설 결함, 안전기준 미준수 등으로 이 같은 사고가 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런데도 환경부는 화학사고 예방을 위한 현장 점검 등은 부실하게 하고 있다. 환경부는 화학물질관리법 제23조의2에 따라 화학물질 취급 시설에 대한 안전점검을 하고 있다.
하지만 환경부는 2020년 인천의 화학물질 취급업체 1천575곳 중 고작 32곳(2%), 지난해에는 대상 1천638곳 중 87곳(5.3%)만 현장 점검을 했다. 올해도 1천685곳 중 현장 점검은 143곳(8.4%)에 그친다.
특히 환경부는 2020년 612곳, 지난해 564곳, 올해 608곳 등에 대해서는 비대면 안전점검을 했다. 그러나 이는 업체들이 스스로 벌인 안전 점검에 대한 결과만 넘겨 받는 식이어서 ‘셀프 점검’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여기에 환경부의 안전사고 예방 캠페인도 1년에 1번씩 업체에 포스터를 나눠주는데 그치고 있다.
김송원 인천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사무처장은 “환경부의 부실한 현장 점검은 자칫 대규모 화학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며 “인천은 화학물질 취급 업체가 많은 만큼, 환경부는 물론 시가 나서 철저하게 현장 점검을 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화학 사고를 낸 업체들도 강력한 행정·사법 처리를 통해 같은 사고가 반복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인력 부족과 코로나19 확산 등의 한계가 있어 많은 업체들을 점검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고 했다. 이어 “현장점검을 해야 사고를 막을 있는 확률이 높은 만큼, 현장점검 비중을 높이고 예방 교육·캠페인 등을 강화할 것”이라고 했다.
이지용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