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참사 언론 보도, 신뢰성 높아"…국민 절반 이상

image

국민 중 절반 이상이 우리 언론의 이태원 참사 보도가 신뢰성이 높다고 응답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지난 7일 발간한 '미디어 이슈' 8권 6호에 따르면 응답자 1천 명 중 76%가 "'이태원 참사' 사고 원인 및 책임에 대한 과학적 분석 보도 부족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반면, 응답자 72.8%는 "이태원 참사 유가족에게 조심스럽게 접근한 보도에 대해 잘했다”고 답했다.

우리 언론이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 "신속하게 보도하고 있다"는 내용에 대해 81.2%가 그렇다('매우 그렇다'와 '약간 그렇다'는 응답 통합)고 답해 가장 높았다. "심층적으로 보도하고 있다"도 67.5%로 과반을 넘었고, "정확하게 보도하고 있다"(57.8%) "믿을 만하게 보도하고 있다"(56.2%)는 내용에도 절반 이상이 그렇다고 답했다. 그러나 "과학적으로 보도하고 있다"는 내용에 대해서는 61.7%가 '그렇지 않다'라고 응답해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태원 참사 보도 과정에서 드러난 우리 언론의 문제점에 대해서도 물었다. 그 결과 '사고 원인 및 책임에 대한 과학적 분석 보도 부족'을 문제라고 동의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76%로 가장 높았다. 또 '사고 초기 관성적인 24시간 특보 체계'에 대해서도 73.9%가 문제라고 동의해 비교적 높았다. 이어 '너무 많은 뉴스의 양'(67.9%), '사고 초기 오보 및 확인 안 된 정보의 전달'(67.4%), '사고 초기 무분별한 현장 사진 및 영상 활용'(66.5%), '사고 초기 무리한 현장 인터뷰'(59.6%) 순이었다.

image

희생자 명단을 공개해 보도한 것과 관련한 논란과 관련해서는 '비공개를 원칙으로 유족이 원하는 경우에만 보도해야 한다'는 응답 비율이 48.9%로 가장 높았다. '공개를 원칙으로 유족의 동의가 있을 경우에만 보도해야 한다'에는 33.6%가 공감한다고 밝혀 그 뒤를 이었다. 다음으로는 '국민적 슬픔이 크기 때문에 희생자 명단을 보도하지 말아야 한다' 10.7%, '희생자들의 명복을 빌기 위해 유족의 동의가 없더라도 공개해 보도해야 한다' 6.8% 순으로 이어졌다.

이 밖에도 '유가족에 대한 조심스러운 접근'이 개선됐다는데 동의한다고 답한 비율이 72.8%였고, 국가적 재난이나 사고가 발생 시 관련 뉴스 및 정보에 달리는 댓글을 차단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한 찬반을 물은 결과 찬성한다는 의견이 55.8%로 과반을 약간 넘어 높았다.

이번 조사는 20대이상 성인남녀 1천 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에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31% 포인트다. 자세한 조사결과는 '미디어이슈' 8권 6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장영준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