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취약계층, 한파 닥치는데 후원·지원 끊겨 겨울나기 ’막막’…난방 민원 급증

“날씨는 점점 추워지는데 연료 지원은 예전 그대로에요. 난방비만 계속 올라서 겨울나기가 막막해요”

인천 강화군에 사는 중증장애인 A씨는 이번 겨울이 그 어느 때보다 걱정이다. 코로나19 이후 경기 침체로 각종 후원이나 지원이 끊어진데다, 최근 국제 에너지 가격이 급격히 오르면서 난방비 부담이 커졌기 때문이다. A씨는 “중증장애를 갖고 수급비로 간신히 생활하고 있다”며 “예전에 받던 후원이 모두 끊겨서 연탄이나 기름 등 난방을 위한 지원이 절실하다”고 하소연했다.

최근 본격적인 한파가 찾아오면서 인천지역 취약계층들의 난방비에 대한 부담이 커지고 있다.

12일 국민권익위원회와 인천시 등에 따르면 도시가스 등 주택용 열 사용 요금은 올해 들어 3차례 인상, 연초보다 약 38% 급등했다. 또 저소득층의 난방을 책임지던 등유 평균 가격도 연초보다 약 46% 올랐다.

이로 인해 인천에서 관련 민원도 지난 10월 2천401건에서 지난달 3천508건으로 46.1% 증가했다. 대부분 민원은 취약계층 난방 지원 요청, 난방비 부담 경감 요구, 한파 피해 신속 처리 요청 등이다.

이런데도 인천시의 난방비 지원 관련 정책은 취약계층들에게 온기를 불어넣지 못하고 있다. 인천의 직접적인 난방비 지원 관련 사업은 산업통상자원부의 에너지 바우처(이용권) 뿐이다. 이마저도 연간 바우처 지원 금액은 1인 가구 14만8천100원에 그친다. 이 금액으로는 등유 100ℓ를 살 수밖에 없어 겨울을 나기 역부족이다.

이 때문에 시가 정부의 에너지 바우처 사업 외에 취약계층의 난방비 지원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시 관계자는 “한시적으로 국내 에너지 요금이 급격히 상승한 것으로 보고 있어 현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에너지 요금 상승이 지속될 경우 취약계층에 대한 현실적인 지원 사업을 발굴·검토할 계획”이라고 했다.

홍승주수습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