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섬지역 발전사업, 시작부터 ‘삐걱’

市, 150억 투입 위그선 도입... 안전성 확보 못해 ‘백지화’
광명항 여객터미널 사업도 해수부 반대로 차질 빚어 “기본 계획 재검토 필요해”

image
위그선. 연합뉴스

인천시의 섬 지역 발전 사업이 첫해부터 일부 백지화하는 등 차질을 빚고 있다. 지역 안팎에선 철저한 사전 검토 등을 거쳐 꼭 필요한 사업을 선택해 집중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18일 시 등에 따르면 시는 섬 지역 발전을 위한 41건의 분야별 핵심전략 사업이 담긴 섬발전기본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사업 기간은 올해부터 2026년까지 5년 간이다. 하지만 이미 사업 2건을 백지화하고, 또 다른 사업 2건은 무기한 중단하는 등 난항을 겪고 있다.

시는 여객선에만 의존하는 섬주민들의 이동 불편 개선과 관광객 유치 등을 위해 150억원을 들여 백령·연평항로에 위그선을 도입하려 했다. 위그선은 수면 위 5m에 뜬 채 최고 시속 550㎞까지 달리는 초고속선이다.

하지만 시는 위그선의 안전성과 사업성 등을 확보하지 못해, 해양수산부의 신규 면허를 받지 못하고 있다. 당초 시는 올해 민간 사업자를 통해 위그선의 시험운항을 한다는 계획을 마련했다가 결국 위그선 도입을 백지화 했다.

시는 또 주민의 소득원 창출을 위한 스마트 양식 사업(사업비 30억원)도 포기했다. 시는 서해 5도 바다에 인공지능(AI), 원격제어 등을 적용한 해조류 우뭇가사리 스마트 양식장을 지으려 했다. 이 과정에서 해수부로부터 ‘해당 지역이 양식에 적합하지 않다’는 의견을 받자 사업을 백지화한 것이다.

특히 시가 중구 무의도에 여객 수요 확보를 위한 광명항 제2여객 터미널을 조성하려던 사업도 차질을 빚고 있다. 해수부가 사업의 시급성 부족과 예산 부족 등을 이유로 반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해양 생태계 영향 우려로 인한 환경단체 및 어민들의 반발도 커 아예 사업 추진이 멈춰있다.

이와 함께 시가 내년까지 추진하기로 한 백령도~중국 항로 국제 여객선 도입 사업도 사실상 중단 상태이다. 시가 중국과의 해운회담을 열어 사업 추진 여부를 논의해야 하지만 코로나19, 정치적 갈등 등을 이유로 아예 회담을 열지 못한 탓이다.

지역 안팎에선 이 같은 시의 섬발전기본계획 관련 사업의 차질은 애초에 사업의 추진 가능성 및 경제성, 안전성 등을 제대로 파악하지 않은 채 무작정 사업들만 계획에 담았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조성환 인천시의원(더불어민주당·계양구1)은 “주민들과의 간담회 및 사전 검토 등을 충분히 거쳐 꼭 필요한 사업에 행정력을 집중했어야 했다”고 했다. 이어 “민선 8기에 들어선 만큼, 교통 체계 개선 등 섬지역 주민들의 정주여건 개선 등을 위한 섬발전계획의 재수립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주민이 원하는 사업을 모두 계획에 포함한 뒤 내년에 국비 신청을 하려다 보니 경제성 등이 없는 사업도 나오는 것 같다”고 했다. 이어 “나머지 사업들의 경제성 등을 다시 충분히 검토해 계획을 차질없이 추진하도록 할 것”이라고 했다.

한편, 시는 2026년을 목표로 정주환경 분야 11건, 지역경제 분야 10건, 문화관광 분야 9건, 교통 분야 11건 등 모두 41건의 핵심전략사업이 담긴 섬발전기본계획을 마련해 추진 중이다.

이지용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