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 직무대행’을 놓고 내홍을 겪는 경기도의회 국민의힘이 ‘한 지붕 두 가족’으로 남아 대립을 이어갈 전망이다. 정상화추진위원회와 대표단이 서로를 비판하는 데 열을 올리면서 감정의 골이 깊어지는 등 내부 갈등이 격화하고 있다.
18일 도의회 국민의힘 정상화추진위에 따르면 이들은 지난 16일 의원총회를 열고 대표 직무대행으로 김정호 의원(광명1)을 선출했다. 이날 의총은 유의동 경기도당위원장(평택을)이 소집했다. 78명의 국민의힘 소속 도의원 중 43명이 참석한 이날 투표 결과 김 의원 33표, 박명원 의원(화성2) 6표, 기권 2표, 무효 2표 등의 결과가 나왔다.
정상화추진위 관계자는 “곽미숙 대표(고양6)에 대한 직무집행 정지 가처분 신청이 법원에서 인용됨에 따라 직무대행을 선출해야 한다. 다만 관련 조례나 규칙이 없기에 정치적으로 해결할 수밖에 없는 만큼 도당위원장 주관으로 직무대행을 선출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도당위원장이 소집한 의총에 참석하지 않는 것은 도당위원장을 부정하는 항명으로 봐야 한다”고 목청을 높였다.
이 같은 주장에 현 대표단은 즉각 반발했다. 정당성과 절차를 무시한 직무대행을 인정할 수 없다는 이유에서다. 실제 이날 의총에 참석하지 않은 35명의 도의원은 곽 대표가 꾸린 대표단과 지지 의원들이다.
지미연 수석대변인(용인6)은 이날 입장문을 통해 “국민의힘 소속 일부 의원들이 공식 의총으로 성립될 수 없는 반쪽 짜리 회의를 통해 현행 조례와 제도로는 인정되지 못할 그들만의 대표 직무대행을 선출했다”며 “혼란 증폭의 주된 원인은 바로 국민의힘 도당이다. 지방의회의 자율적이고 독립적인 판단 및 치유 기능을 외면하고 교섭단체 운영에 기준이 돼야 할 도의회 조례 및 규칙마저 무시한 독단적 처사”라고 비판했다.
이어 지 수석대변인은 “도당은 지방의회 자율성과 독립성을 무시하면서까지 자신들이 원하는 대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움직임을 이제라도 멈춰야 한다. 그리고 김 의원을 비롯한 일부 의원들도 직무대행이라는 허상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힘줘 말했다.
임태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