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 안성천 등 3곳 ‘환경부 통합하천사업’ 선정...10년간 총 5천억원 투입

안성천 등 도내 3곳이 ‘환경부 통합하천사업’에 선정돼 5천억원을 들여 수변공원 등으로 탈바꿈한다.

 

22일 경기도에 따르면 환경부는 평택시 안성천, 군포시 산본천, 고양시 창릉천 등 전국 하천 20곳을 ‘지역맞춤형 통합하천사업’으로 결정했다.

 

이 사업은 급속한 도시화로 훼손된 하천의 재자연화와 주민의 생활 수준 향상, 친환경 수변공간 조성 등을 위한 것이다. 1곳당 300억~4천억원을 투입한다. 사업비는 국비 50%, 지방비 50% 비율로 내년 기본구상을 거쳐 오는 2032년까지 10년간 추진한다.

 

도는 3곳 하천에 대한 수변공원화, 치수 안정성 확보 등 사업비 5천64억원의 절반인 2천532억원을 국비로 확보했다.

 

사업 주요 내용을 보면 평택시 안성천은 노을생태문화공원을 중심으로 팽성습지공원, 수변 놀이문화공원, 천변 산책로 등 도심과 어우러진 복합 친수공간을 조성한다. 팽성읍 원정리~유천동(8㎞) 구간에 예산 853억원을 투입해 ‘살아 숨 쉬는 생명 하천’으로 구현하는 것이다.

 

군포시 산본천은 사업비 1천916억원을 들여 복개시설 철거로 치수 안정성 확보와 수질개선을 도모하고 보행자·자전거도로 등을 확충, 여가 기능을 강화한다.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사업도 연계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꾀할 방침이다.

 

북한산과 한강을 연결하는 고양시 창릉천에는 2천295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3기 신도시 등과 연계하면서 역사·문화·자연을 통합한 스마트 통합하천으로 만들 계획이다. 여기에 역사학습관, 꿈놀이마당, 창릉워터프론트 등 시민 활동공간을 확보할 예정이다.

 

방현하 건설국장은 “경기도와 시의 협업으로 지역맞춤형 통합하천사업에 광역지자체로서는 가장 많은 3곳이 선정되는 성과를 거뒀다”며 “도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경기도의 정책인 하천 수변공원 조성사업에 큰 역할을 할 뿐 아니라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의 협력 모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