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진 조작까지… 대학마다 ‘코로나 인정점수’ 제각각

경기도내 대학 교수·강사 재량으로 운영... 공정성 논란, 산출 방식 개선 시급
교육부 “수업·성적 평가 관여 불가”

경기도내 대학교들이 코로나19 확진자의 성적 산출 방식을 제각각으로 운영하면서 공정성 논란이 일고 있다. 대학교 학점은 취업 등과 직결되는 중요한 지표인 만큼 다른 학생들이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일관성 있는 산출 방식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25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도내 대학교들은 코로나19에 확진돼 시험 응시가 불가할 경우 재시험이나 과제 제출 등으로 대체할 수 있게 하는 자체 규정을 두고 있다.

 

하지만 일부 대학교의 경우 시험 결시자의 성적 산출에 대한 권한을 해당 과목의 교수나 강사에게 일임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렇다 보니 교수나 수업마다 시험 결시자의 성적 산출 방식과 확진 검증 방법이 제각각으로 운영되는 실정이다.

 

최근 도내 A대학교 커뮤니티에는 ‘기말고사 때 코로나19 양성 문자를 위조해 높은 점수를 받은 동기가 있다’며 ‘열심히 공부한 학생으로서 억울하다’는 글이 게재됐다. 게시글에는 중간고사 점수를 높게 받은 한 학생이 코로나19 양성 문자를 위조해 교수에게 제출했고, 이를 통해 높은 점수를 받았다는 주장이 담겼다. 해당 과목의 교수가 코로나19 확진으로 기말고사에 결시할 경우 중간고사 점수를 그대로 기말고사 점수로 인정해 성적에 반영하는 인정점수제도를 운영하면서 확진 문자를 조작해 제출했다는 주장이다. 이 교수는 별도의 검증 없이 해당 학생의 확진 문자 만을 확인한 채 최종 성적을 부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A대학교 관계자는 “시험 결시에 대한 조치는 교수나 강사의 재량에 따르고 있다”며 “추후 교수 평가 등을 통해 해당 내용이 확인될 경우 별도 조치를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도내 B대학교 역시 확진자의 점수 산출 방식을 교수 재량으로 운영하고 있어 이 같은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다분한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학교 차원에서 코로나19 확진자에 대해 일관되게 공인된 확진 서류를 제출 받지 않고 교수 재량으로 문자나 확인서, 구두 등의 방식으로 결시를 인정해주기 때문에 이 같은 논란을 더욱 키운다는 지적도 나온다.

 

대학생 강성우씨(가명·22)는 “대학 성적은 취업으로 연결되는 중요한 요소인데, 이렇게 운영되면 억울한 학생이 생길 수밖에 없다"며 “확실한 검증 방법과 일관된 성적 산출 방식이 마련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하지만 이런 상황에서도 교육부는 별다른 조치를 취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학교 수업이나 성적 평가 등은 학칙에 따라 운영되는 것”이라며 “관여할 수 없는 부분”이라고 밝혔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