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적으로 친환경 신기술을 개발, 안전하면서도 경제성을 높여 정부 등의 예산 절감에 기여하겠습니다.”
정웅섭 ㈜지오베이스 대표이사는 업계에서 각종 공사 현장의 약한 지반을 안전하게 만드는 그라우팅(Grouting)의 선두주자로 꼽힌다. 그라우팅은 주로 연약 지반을 단단하게 하거나 땅속에서 물이 솟아나오지 않도록 하려 틈이나 구멍 등에 시멘트 같은 충전재를 강한 압력으로 넣는 공법이다.
정 대표이사는 지난 2005년 특허청에 출원이 끝난 ‘습식 극세립자 시멘트 밀크 제조 장치’를 비롯해 2013년 ‘지반보강을 위한 주입관 장치 및 지반 보강 시스템’ 등 모두 2개의 특허도 보유하고 있다. 그는 이 같은 기술을 통해 JS-CGM(Just Selected Chemical Grouting Method)이라는 공법을 만들어냈다.
JS-CGM은 종전 물유리를 사용하는 일반 공법과 달리, 물유리를 특정약품으로 처리해 얻어지는 개질물유리의 합성실리카 약액(물로 엷게 한 후 살포하는 약제)을 사용한다. 이 약액은 화학적으로 굳는 고결화 반응을 일으켜 높은 내구성과 빠른 시간 내 강도를 갖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지반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습식 시멘트 분쇄기를 사용, 시멘트를 세립화하면 틈이나 구멍 등에 빠르고 고르게 넣을 수 있어 매우 친환경적이다.
정 대표이사는 “물유리계 약액 그라우팅과 비교하면 주입 방식과 주입재의 성능이 크게 개량된 공법”이라며 “경제성이 매우 높아 관급공사 등에 적용하면 예산 절감 효과를 크게 기대할 수 있다”고 했다. 이어 “종전 물유리계 약액주입장치도 그대로 사용이 가능해 별도의 설비 부담 없이 시공이 가능한 장점도 있다”고 했다.
이 같은 효과 탓에 포스코건설이 시공한 인천 미추홀구 주안10구역 주택재개발 사업과, 현대건설의 서구 불로2지구 공동주택 사업에도 이 공법이 쓰이기도 했다. 또 대우건설의 경기도 안양 비산초교 주변 개발사업과 성남시의 정자1동 복합청사 건립공사, 수원시 파장동 어린이공원 주차장 공사에도 적용이 이뤄지는 등 경인지역에서 잇따라 실적을 내고 있다.
정 대표이사는 “JS-CGM 그라우팅 공법이 주입재가 다른 곳으로 흘러가거나 사라지는 문제를 해결, 경제성까지 확보해 민·관 건설 공사에서의 활용 범위가 확대하는 추세”라고 했다. 이어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친환경 신기술을 개발해 환경·사회·지배구조(EGS) 경영에도 나설 계획”이라고 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